처음 보는 비밀 미술관 - 모든 그림에는 시크릿 코드가 있다
데브라 N. 맨커프 지음, 안희정 옮김 / 윌북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관련 이야기는 참 흥미로운게 많다.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달라지기도 하겠지만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사실이나 감춰져 있는 모습이 드러나기도 하고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던 관련 자료가 세상에 그 모습을 드러내면서 미술 애호가들의 이목을 단숨에 사로잡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볼 때 그 어느 분야보다 할 이야기가 많은것 같다. 수천 년이나 수 세기 전에 그려진 그림이 현대에 이렇게나 많이 재해석되기도 하고 사람들의 사랑을 받는 거러 보면 신기하기도 한데 최근 만나 본 『처음 보는 비밀 미술관』은 그런 미술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릴 수 있는 매력적인 책이다.

 


일명 시크릿 코드를 통해서 세계적인 미술 작품들의 숨겨진 이야기를 알아보는 『처음 보는 비밀 미술관』은 개인적으로는 예술 작품의 복원 기술에 대한 관심을 높이게 만들기도 했다. 여기에 더해 분석 기술까지 더해져서 그동안 몰랐던 명화에 숨겨진 이야기, 알려지지 않았던 진실을 담아내는 책은 마치 미술 관련 도서가 아니라 그 작품을 둘러싼 예술가와 그의 창작과 예술혼, 그 당시의 스토리가 담긴 종합예술서 같은 느낌이 들 정도이다.

 

책은 초록빛 커버로 덮여 있는 하드커버의 양장본이다. 그런데 이 초록색 커버에 구멍이 뚫려 있다. 마치 그림을 몰래 훔쳐보는것 같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완전히 드러나지 않은 명화가 조금씩 그 베일을 벗는것 같은 느낌이 들게도 하는 효과가 있는 표지인 셈이다.

 

그렇게 베일에 쌓인듯한 표지를 벗겨내면 나오는 그림은 무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작품이다. 작품명은 <담비를 안고 있는 여인>으로 흔치 않게 그림 속 여인이 누군지가 명확하게 밝혀진 그림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작품의 묘미는 여인이 안고 있는 담비다. 놀랍게도 최근 과학 분석을 통해 원래는 담비가 아니였음이 밝혀졌다고 한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이야기를 담아낸다. 당연하게 알고 있던 것들이 당연하지 않다는 것. 그 속의 진짜 모습은 그동안 밝혀지지 않은 탓에 우리가 몰랐던 그런 진실을 담아내고 있는 것이다.

 


총 8장에 걸쳐서 진행되는 비밀의 미술관 속 미술 작품들이 품고 있는 이야기는 먼저 한 페이지에는 그림 전체를 실고 있고 나머지 페이지에는 그림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이 나온다. 그리고 뒷페이지를 넘기면 그림을 부분부분 분할해서 각 주제와 관련해 집중 분석하고 그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쉽게 이해가 가도록, 그러나 절대 지루하지 않고 오히려 그림을 감상하는 재미가 생겨나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게다가 그 그림과 관련한 시대의 유행했던 화풍이나 그림의 테마 등을 함께 짧지만 코너처럼 소개하기도 하고 작가의 또다른 작품을 하나 더 실어서 보다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러니 이런 가짓수만 따지면 책 속에 담긴 미술 작품의 수는 상당하다. 충분히 소장 가치가 있는 책이다. 그림을 좋아하는사람이라면 너무나 탐날만한 책이 아닐 수 없다. 특히나 다시금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상향된 이 시점에 방구석 미술관 탐방이라고 불러도 좋을만한 책이라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미술 작품 감상을 좋아하는 사람들, 익숙한 그림들의 낯선지만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나보고픈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추천해주고 싶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