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극이 귀 옆을 스쳐지나가는 듯한 느낌의 붕뜬 감각


2. 영화를 보던 중 문득 내 나이에 대한 자각을 하게 되면서

   과연 난 잘 살고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관계랄만한 것들을 끊고 고립되어가면서 과연 잘 살고 있는가

   스스로 정한 마지노선은 이제 한 손으로 꼽을만큼의 년수밖에 남지 않았는데

   과연 그 때까지 내가 바라는 모습이 될 수는 있는 걸까

   아마 가장 많이 든 생각은 그것이었던 듯 싶다.


3. 나는 누구. 관계는 무엇. 여긴 어디. 등의 고민을

   재패니메이션이 아닌 흑인 주연의 미국영화에서 본 것이 꽤 새로웠음


4. 어디까지 드러내고 어디까지 감출 것인가.

   이를테면 후안의 행방이라던지 혹은 모자지간에 어떤 일이 있었을지

   혹은 하다못해 3부에 이르기 전의 시간까지 못 해도 하나 쯤은

   현재진행으로 나올 법 했는데 그 중 하나도 나오지 않음


5. 하여 어느 부분에서 보면 이해가 좀 힘들 것도 같다.

   이해보다는 공감이려나


6. 대관절 왜 사람들은 자기랑 좀 다르면 배척하고 보는 건지.


7. 미국영화인데 미국영화 같지 않음.


8. 다시 보면 감상이 또 달라질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일단 재미있음.

   애니메이션 보면서도 온갖 잡생각 + 트집 에 사실 70~80 프로나 집중하면 다행이었는데

   간만에 빠져서 본 듯 싶다. 물론 몇몇 부분 의문이 든 건 있긴 했지만.


2. 첫 번째 의문은 과연 저것이 드래곤인가 드래곤의 탈을 쓴 고양이인가 하는 것

   물론 주인공과의 관계형성을 위해 드래곤의 성질을 좀 누그러뜨릴 필요야 있겠다만은

   과연 그 성질이 고양이의 모습을 갖고 있을 필요가 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남는다.

   ...뭐 귀엽긴 하지만.


3. 두 번째 의문은 왜 나이트 퓨리 여야 했는가 하는 점.

   애초에 주인공이 투슬리스한테 정을 느끼고 동질감을 느낀 것이

   날지 못 하는 약한 용이라는 점 때문이었을텐데 알고보니 그가 '최강자' 였다 라는 건

   너무 정형화 된 전개가 아닐까 싶다. 차라리 듣도 보도 못 한 종의 용이었다면

   주인공과의 동질감이 더 그럴듯해 보이지 않았을까 싶다.

   그냥 까만 용인 줄 알고 있다가 갑자기 나이트 퓨리라니 그 부분이 좀 생뚱맞았음


4. 의문이라기보다는 다소 충격이었던 건 마지막 장면.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 발을 자르는 것을 과연 내가 몇 번이나 봤을까 싶다.

   그것도 전쟁과 살생의 의미를 따져묻는 철학적 애니도 아니고 성장영화에서

   처음부터 그런 것도 아니고 마지막을 그렇게 끝내버리니 그 부분이 좀 쇼킹했음


5. 어쨌든 영화는 재미있고 투슬리스는 귀엽다.

   너무 귀여워서 저게 고양이야 드래곤이야 싶긴 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러닝타임도 러닝타임이지만 여러 장면 보기 힘들어서 건너뛰었다.

   15세 관람가인 게 믿기지 않음

   

2. 뭐라 더 적어볼까 싶지만 딱히 생각나는 게 없다

   생각나는 건 자비로운 척 폼 잡지만 결국 본인이 '구해줬다' 믿는 흑인노예를

   더 심한 곳으로 팔아넘겨버린 베네딕트


3. 사실 이 영화를 보고 싶은 마음은 없었다.

   제목과 시놉만 봐도 처절함이 넘쳐 흐르기에.

   허나 필름클럽 팟캐스트에서 '문라이트' 얘기를 하며 문라이트 영화음악을 했던 사람이

   노예 12년 역시 맡았다는 말에 반 충동적으로 보게 되었음

   문라이트 영화음악을 하는 사람 - 현악기를 중심으로 다룸

    - 현악기 소리 좋아함 - 바이올린 연주자가 주인공이란다...

   는 식의 의식의 흐름이었다.


4. 생존이 먼저냐 예술이 먼저냐 라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거리의 예술가들, 굶주림과 질병에 맞서 위대한 예술을 남긴 이들

   어디까지나 그건 환상 속의 이미지인 거고 결국 먹고 살아야 예술도 하지 않겠나

   하여 전쟁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현을 놀리는 연주자...라는 건 잘못된 환상이지 싶다

   예술혼이란 게 그런 게 아니겠냐 싶지만서도

   인간도 역시 동물인지라 과연 자기 목숨보다 위중할 자아실현이 있을까 싶네


5. 그렇다 할지라도 그저 목숨부지만을 최우선으로 둔다면

   그것만큼 또 비인간적인 게 어디 있을까 싶다

   단지 실용성만을 위한 물건이 아닌 아름다운 것을 찾는 것도

   결국 목숨부지 이상의 무언가를 인간은 원한다 는 정의일 테니 말이다.


6. 그렇다면 과연 예술이, 예술가가 자리해야 할 위치는 어디일까

   예술은 삶의 어디에 위치해야 할까

   어쨌든 산다. 허나 인간답게 산다. 그 위의 어디일까.


7. 쓰다보니 어영부영 말이 또 길어졌지만 요즘 많이 드는 생각이기도 하다.

   대체 뭐에 쓰려고 계속 그리는지.

   차라리 놔버리고 휴일에 빈둥대면 최소한 체력보충은 될 터인데 말이다.


8. 이것이 그냥 사는 것이 아닌 사는 것 답게 사는 거라 한다면

   혹은 그런 삶으로 가는 길이라 한다면 가끔 무척 버겁다


9. ...결론은 아무말 대잔치로군.

   어쨌든 영화는 생각보다 잔혹하고 15세 관람가라는 게 믿기지 않음

   베네딕트가 선량한 사람인 척 폼재고 나옴. 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상당히 묘한 기분이 든다.

   평소 시각이건 감정이건 어느 한 부분이라도 휘어잡고 시작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인지라

   서서히 잠식하듯 퍼져가는 영화의 흐름이 좋다고 하기에도 무언가 미진한 것 같고

   그렇다고 이 영화 별론데 라며 무시하고 지나가기엔 너무 크게 자리하고 있는 느낌


2. 문화컨텐츠에서 내가 선호하는 감정은 극과 극이다.

   아예 닦고 닦아 투명해지거나 혹은 아예 극으로 치닫거나.

   사랑으로 치환한다면 너 때문에 죽어버리겠어. 혹은 내 마음에서 너를 지우겠어. 이려나.

   사실 감정과 마음을 읽고 공감하는 능력이 부족한 인간인지라

   극단적인 것을 좋아하게 된 경향도 있다.

   아예 없거나 너 때문에 죽겠어 거나.


3. 하여 두 사람의 행동과 대처가 낯설었던 것도 사실이다.

   가장 낯설었던 것은 떠남과 멀어짐이 일상적으로 그려졌다는 것.

   사실 영화 전반이 일상적이었음이 놀라운 거지만.


4. 평범이라는 범주에서 벗어날 수 밖에 없는 사람을 대할 때의 곤혹스러움이 있다.

   (굳이 성정체성이 아니더라도)

   난 널 이해한다는 명분 아래

   일상적 관계에서라면 보이지 않을 듯한 관대함까지 오버해서 보인다거나

   혹은 반대로 꺼리거나 싫은 기색을 너무 드러내는 경우

   나의 말이나 행동이 조금만 엇나가도

   이 둘 중 한 곳에 떨어지리란 아슬아슬함이 있다.

   하여 불편해진다.


5. 그런데 생각해보면 평범이란 말도 사전적인 정의일 뿐.

   사람은 기본적으로 저마다 다르고 어째서인지 나이가 들수록 생각만 많아진 나는

   (생각이 많아진 것과 별개로 입은 필터가 사라지는 것이 기이하지만)

   이런 이유에서 점점 대화가 피곤해지고 관계가 버거워지는 거다

   몇 시간 대화해놓고 집에 와서 오만가지 생각을 다하는 격


6. 일상적인 관계에서도 그러니 일상 외의 무언가를 만나면 오죽하겠는가.

 

7. 또 얘기를 하다 옆길로 샌 듯한데

   아무튼 이 영화의 놀라움이자 장점은 일상적이라는 게 아닐까 싶다.

   그리고 꼭 하고 싶은 말.

   아 제발 남의 인생 고나리 좀 그만.


8. 케이트 블란쳇. 이렇게 우아 라는 단어가 어울리는 배우가 또 있을까 싶다.


9. 이 영화가 거론될 때마다 나오는 '시선의 마주침' 은

   영화를 끝까지 봐야만 알 수 있을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이 영화 때문에 극장을 갈까 말까 고민했더랬다.

   (참고로 마지막으로 극장에서 본 영화는 김기덕의 '피에타' 였음)

   상영관이 원체 적었던 데다가 고민하는 사이 극장에서 내려버려서 선택의 여지가 없었지만서도.


2. 이 영화에 대해서는 이상하리만치 기대하는 바가 없었다.

   물론 보고 싶긴 했지만 이 영화를 보면 영상의 기적을 보게 될 거야 라던가

   어린 시절의 추억이 떠오를거야 등등의 기대는 없었다.

   다만 억지로 자극적인 것이 아닌 것들을 보고 싶었다.

   과한 폭력도 없고, 과한 갈등도 없이, 무엇보다 치정과 돈이 얽히지 않은 이야기들.


3. 그러다보니 이야기의 전개가 많이 심심하다.

   거인들은 너무 쉽게 물러나고 사건의 해결도 이게 뭐야 싶다.

   아마 그런 점 때문에 흥행이 안 된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함.


4. 가장 큰 느낌은 무언가 다루다 만 느낌이랄까.

   이 이야기의 시작점은 소녀의 외로움과 거인의 외로움이 통한 그 지점이 아닐까 싶은데

   그 외로움들이 생각만큼 섬세하게 다뤄지지 못 한 느낌이다.

   하기사 거기에 중점을 두고 다루기 시작한다면

   그가 외로움을 느끼게 된 원인과 배경. 결국 다르다고 핍박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혹은 그 반대의 이야기로 이야기가 엄청 묵직해졌을 것 같긴 하지만서도.

   솔직히 왜 여왕이어야만 했나 하는 의문은 남는다.

   애니에서조차 문제의 해결은 공권력이 아니면 안 되는 거냐 라는 비뚤어진 생각이 들기도 함.


5. 가장 궁금했던 것은 결국 BFG가 자기 손으로 자신의 동족을 군에 넘겨버렸을 때

   그 마음이 어땠을까 하는 거다.

   인간의 틈바구니 안에서 몇 되지도 않는 거인인데

   결국 그 거인들을 군에 넘겨버렸을 때의 마음

   허나 그 거인들이 결코 자신에게 좋은 영향은 아니줬을 때의 마음

   그 상충되는 마음과 그 때를 표현하는 표정이 궁금했었다.

   ...결과는 미묘했지만.


6. 어떤 면은 좋기도 하고 어떤 면은 밋밋하기도 한 영화였음.

   스필버그의 다른 영화에 비해 이도 저도 아니란 느낌은 좀 강하긴 하다.

   이게 모험영화야 아니면 성장영화야 뭐야...라는 느낌?


7. 팀버튼이 만들었다면. 아마 외로움의 측면이 더 강조되었겠지

   그리고 거인들은 처참하게 몰살되었을 거다.


8. 스필버그와 팀버튼이 외나무다리에서 만난 느낌적인 느낌이랄까...



p.s. 일일이 이미지 찾아 저장하고 다시 크기 줄여서 페이퍼 쓰는 것이

      적잖이 귀찮아 블루레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냥 상품검색으로 리뷰를 쓰곤 했는데

      이제 보니 그렇게 하면 제가 '그 영화의 블루레이를 부러 구해 본 사람' 이 되는 거더군요...

      .....이런 실수가 있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