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바리데기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라국 오구대왕의 일곱째 딸은, 딸이라는 이유로 버림받았다. 그 이름은 바리데기다. 버려진 아이라는 이름을 달고 인생을 시작한 아이. 신데렐라가 재 투성이라는 뜻이고, 올리버 트위스트가 못 먹어 말라서 배배 꼬인 몸을 하고 있는 아이라는 뜻이라는 걸 알았을 때처럼 눈물 나는 이름이다.


설화 속 바리데기는 무쇠 옷, 무쇠 신발, 무쇠 지팡이 차림으로 그것들이 다 닳을 때까지 고된 여정을 겪으며 서천서역국으로 자신을 버린 부모님을 구할 생명수를 구하러 떠난다. 그녀는 심지어 생명수 지킴이인 동수자의 아이 셋을 낳아주며 긴 세월을 보낸 후, 기어이 생명수를 구한다. 그녀는 그 와중에 만난 저승 가는 혼들의 아픔에 눈물짓다 모든 아픈 넋들을 위로하는 신이 된다.


나는 바리 설화를 읽으며, 죽음에 대한 공포를 한 꺼풀 벗는 안도감을 느꼈다. 누군가 내 죽음 뒤의 아픔을 위로해 주는 이가 있구나 하는! 어릴 적 읽은 영국 동화에는 이 세상사람 중 누구라도 죽으면 슬프게 울어주는 요정 이야기가 있었다. 늘 누군가가 죽어갔기 때문에 그녀는 울음을 멈출 수 없었고, 그녀의 긴 백발에 감춰진 눈은 차마 쳐다볼 수 없이 짓물러 보는 이를 기함하게 했으며, 길 가다 마주치는 모든 이들에게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내게는 그렇지 않았다. 어린 마음에도, 아무도 울어주지 않는 죽음만큼 슬픈 건 없다고 느꼈던 것 같다. 바리는 그런 존재이다. 사람의 아픔을 함께 느끼고, 응어리를 씻어내려 주며 영혼을 깨끗이 씻어 편안한 휴식을 주는 치유.


황석영 작가의 <바리데기>에 나오는 바리 역시, 딸이라는 이유로 버림받았다가 할머니에 의해 구원된 후 파란만장한 삶을 사는 인물이다. 그녀의 출생지는 북한이다. 북한을 온통 뒤덮었던 굶주림의 시절 바리는 가족을 잃고 중국으로, 영국으로 옮겨가며 지난한 삶을 살아간다. 그녀가 산 삶은 삶보다는 죽음에 가까이 있었고, 그녀가 디디는 땅은 늘 아비규환의 생지옥이었다. 죽음이 결코 멀리 있지 않고, 지옥은 늘 이곳에 있다는 걸 바리의 삶은 처절하게 보여준다.


그녀는 마치 설화 속 동수자를 닮은 아랍인 알리와 결혼하고, 아이를 배고, 마사지를 통해 상대 영혼의 아픔을 치유하는 신통력으로 영국 사회 속 이방인으로 살아간다. 그리고 알리와 기약 없는 이별을 하고, 갓난아이를 잃는다. 그래도 그녀는 사람들의 아픔을 치유한다. 그녀는 더 깊이 사람들의 속으로 스며들어 고통을 씻어 내린다. 바리에게 사람의 고통은 결코 남의 것이 될 수 없고, 거기에는 국적이나 민족이나 인종, 혹은 부유함과 가난함조차 존재하지 않는다.


그녀의 조그만 몸은 세상 모든 아픈 이들을 향해 뻗는 구원의 손이다. 너와 나, 이쪽과 저쪽이 아니라 우리이며, 세상은 흐르는 한 줄기 물과 같아서 고통 속에서 혼자 빠져나오기란 불가능하다는 이야기를 작가는 하고 싶었던 것일까. 아마 그럴 것이다. 작가는 아마 온갖 이름으로 편 가르기, 잘라내기에 광분하는 사람들에게 바리라는, 자신의 살을 싹둑싹둑 잘라내어 사람들의 배고픔 해소해 주는 고단하고 조그만 여인을 보여줌으로써 우리에게 부끄러움을 가르치려 한 것일지 모르겠다.


긴 기다림 끝에 알리와 재회하고, 스스로 상처를 감싸 안으며 두 번째 아이를 잉태한 바리는 조그만 행복감에 젖는다. 그런 바리 바로 앞에서 폭탄 테러가 일어난다. 여전히 세상은 생지옥이다. 가녀린 북한 소녀 바리의 구원의 몸짓, 해원의 간절한 바람은 늘 세상의 폭력과 광기 때문에 멈칫거린다. 바리는 하염없이 눈물지으며 이렇게 말한다. “아가야, 미안하다.”
책장을 덮으며, 눈물 어린 눈으로 나도 조그맣게 중얼거린다. “이런 세상, 미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녀, 소녀를 사랑하다 올 에이지 클래식
낸시 가든 지음, 이순미 옮김 / 보물창고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대하며 나의 보수성에 새삼 놀랐다. 제목을 한참이나 잘못 읽었던 것이다. '소녀'라는 단어가 반복된다고는 생각하지 않고, 'ㄴ'하나를 붙여 읽었다. 게다가 다짜고짜 본문부터 읽기 시작한 터라 십여 페이지를 읽고나서야 제목을 다시 쳐다보며, 내용을 이해했다.

  나는 논술강사를 겸하므로, 간혹 동성애에 대한 이야기를 청소년 아이들과 나눈다. 그러면 더러 같은 반 친구 중에도 있다고 하고,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고도 하여, 성적 소수자들에 대해 편견을 가지지 말라고 이야기해주는 내가 더 경직되어 있구나 하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이 책을 대하면서도 마찬가지였다. 소녀와 소녀의 사랑이라.

  중고등학생 시절엔 동성 친구와의 우정이 이성과의 애정까지 대체할 정도로 특별하다. 그건 동성애와는 다르지만, 그 경계는 자못 아슬아슬하다. 많은 어른들은 이 시기의 특별한 우정과 동성애가 혼동되었다고 여겨, 아이들에게 일어난 감정을 그저 일시적인 것으로 여기기를 종용한다. 물론 어떤 경우엔 그것이 처방이 될 수 있을 테지만, 또 어떤 경우에는 별무소용일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사랑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다 알듯이 사랑만큼 불가해한 것이 없다. 마치 정치에 대해 그러듯 사랑에 대해서는 수만 가지의 본질과 모습과 방법이 존재해 누구나 사랑을 아는 듯 이야기한다. 그러나 그 무엇도 확실치 않은 것이 사랑이다. 다만 확실한 것은 사랑을 미리 옷맞추듯이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결혼은 그럴 수 있을지 몰라도 사랑은 그럴 수 없다. 사랑은 이를테면 갑자기 내리는 소나기와도 같다. 그러니, 사랑이란 걸 처음 경험하는 청소년기의 아이들에게 미리 예방주사 맞히듯 사랑에 대해 주입하기란 참으로 난감한 일일 것이다. 사랑을 어찌 하겠는가.

  그럼에도, 사랑이라 여김에도 동성애에 대해 부자연스럽게 생각하지 않기란 사실 어렵다. 공리주의의 깊은 뿌리가 흔들리고 모든 소수자들에게 숫적 열세로 인한 부당함을 가하지 않아야 한다는 새로운 생각이 빠르게 확산되고는 있으나, 그 모든 것은 남의 일일 때이다.

  리즈와 애니의 사랑은 불결해 보이거나 온당치 않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그애들에게 경직된 잣대를 들이대는 일이 부당하다고 여겨진다. 소녀끼리의 사랑도 다른 사랑처럼 아름답다. 그러나 내 자식의 일일 때도 같이 여길 것인가. 부디 내 자식이 이성을 사랑해 주기를 바라며, 동성을 사랑한다고 고백하는 순간 그 아이의 삶이 무너지는 것같은 느낌을 받지 않을 자신이 있는가, 잘 모르겠다.

  자식을 키우면서 '절대로'라는 말을 하지 말라 한다. 매일매일 노력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도 이 책에 나오는 리즈의 부모처럼 '세상이 끝난 것은 아니다.'라고 이야기해주며, 닥쳐오는 모든 상황에서 최선의 삶을 살도록 가르치려 노력하고 있다. 노력하고 있지만 자신할 수는 없다.

  청소년들의 생각이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틀라스 세계는 지금 - 정치지리의 세계사 책과함께 아틀라스 1
장 크리스토프 빅토르 지음, 김희균 옮김 / 책과함께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도가 변한다.라는 말을 했더니 놀러왔던 동생이, 지도가 어떻게 변해? 그런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지도를 지형이나 그 비슷한 불변의 것으로 인식한다는 뜻일 거다. 그만큼 지도는 신뢰를 받는다. 우리가 아틀라스라는 우직한 신의 이름만큼 믿어왔던 지도를 믿지 않게 된 것은 동해가 일본해로 표기될 수 있다는 사실을 접하고부터일 것이다. 돈 많은 나라가 우기면 세계는 그 바다를 다른 이름으로 부른다는 사실. 그러면 지도는 그렇게 제작된다. 어쩌면 지도는 힘의 배치도일 거라는 생각을 해본다. 그래서 어쩌면 지도는 대체로 정직하다.
  이 책은 그런 사실을 폭넓게 보여준다. 프랑스와 독일이 합작해서 만들었다는 방송국에서 만든 프로그램 <지도의 이면>을 책으로 옮긴 것이라 하는데, 우선 참 잘 만들어졌다. 내용이 그야말로 예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폭넓고, 수준 있으며, 나처럼 세계사나 지금의 국제정세에 어두운 사람들에게는 신세계를 보여준다는 찬사를 해주고 싶을 만큼 다르고, 충격적이다. 
  각 대륙별로 역사와 정치, 민족, 경제 그리고 힘에 의해 지도가 얼마나 쉴 새 없이 변해왔나를 그야말로 해설이 붙은 고급 다큐멘터리를 보여주듯이 보여준다. 정치지리의 세계사라는 책의 부제목이 딱 알맞고, 지정학 지도라는 것에 대해 깊은 관심과 이해를 불러일으킨다. 음, 음, 이런 소리를 해가면서 읽고, 보게 되는 책이다. 이 책으로, 나는 처음으로 몽골제국의 넓이에 진심으로 놀랐고, 처음으로 미국이 얼마나 스피디하고도 치밀한 나라인가를 실감했다. 일본의 배타적 경제수역이 넓다 못해 우리 동해에 지나치게 바싹 다가와 있음을 보고 새삼 경악하기도 했다. 
  아는 것이 힘이다. 이런 케케묵은 구호가 마음 속에서 솟구치는 느낌. 이렇듯 소리없이 스물스물 변해가는 지도를 똑바로 바라보고 있어야, 그리하여 우리나라가 무슨 색깔로 어디에 어느만큼 위치하고 있는가를 알아야 살아남으리라 싶은 생각이 들었다. '지도가 현실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현실이 지도를 그리는 것이다'라고 표지에 씌어 있지만, 그저 거기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지도를 적극적으로 그려나가야 하리라는 애국심이 오랜만에 솟구쳤다. 
  중학교 아이들 중에서도 관심있는 아이들이라면 슬슬 읽어보면 좋겠고, 그 이상 되는 사람들은 한 번 주욱 읽고 나서, 시시때때로 들여다보면 좋겠다 싶다. 사람에 따라 쉽게 읽히지 않을 수 있겠지만 묵직한 즐거움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 | 12 | 13 | 14 | 1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