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을 바보로 만드는 엉터리 책 비판
미즈노 슌페이.오키타 쇼리 지음, 유준칠 옮김 / 아이디오(IDO) / 2003년 3월
평점 :
품절


아래 리뷰가 좋아서 읽은 책인데 기대했던 것만큼 좋지는 않았다 무엇보다 전문가가 아닌, 관심 차원에서 비교 분석한 책이다 보니, 이런 책이 있더라, 정도로 그친 점이 아쉽다 내가 바라는 것은, 일본인의 입장에서 본 한국인의 잘못된 일본관이었다 즉, 이러이러한 통설이나 선입견은 잘못됐고, 진실은 이렇다 식으로 정리해 주길 바랬는데 책 내용이 전부 한국에서 출판된 일본 관련 서적들을 인용한 것 뿐이다

문화적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면, 즉 역사인식 상의 문제라면 왜 그러한 인식이 틀렸는지, 혹은 일본인은 거기에 대해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그 근거를 밝혀야 하는데, 그건 말도 안 된다, 웃기는 얘기다, 이런 식의 논평으로 넘어가기 때문에 신뢰성이 부족하다 이 책 역시 일본인은 이렇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일본 역사학자가 근거를 가지고, 한일간 역사 인식의 차원을 짚어 줬으면 좋겠다

고대사는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비단 한일 양국간의 인식 차이가 아니더라도 (이제는 중국과도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만) 국내 역사 문제 역시 상반되는 입장을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국가간의 역사인식은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일 수 밖에 없고 일정 부분은 자국에 유리하게 기술되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중요한 것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근거를 밝히는 것이다 이 책도 그렇지만, 책에서 인용되는 한국의 일본 관련 서적들은 지극히 개인적인 편견이나 감정에 기초해 쓴 책들이라 솔직히 논평할 가치가 없다 인용된 책의 수준이 워낙 낮아서 뭘 저렇게까지 분석할 필요가 있나 싶을 정도다 그나마 유명한 책이 있다면 전여옥의 "일본은 없다" 정도인데, 이 책 역시 당시는 베스트셀러였을지 모르지만, 현재로써는 표절 시비에까지 휘말린 문제가 많은 작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환단고기나 기타 여러가지 입증안된 역사적 편견 내지는 상상에 의거해 쓴 책들에 대해 뭘 분석씩이나 했는지 좀 우습다 한국인들도 한심하게 생각하는 이런 책들 말고, 한국인들 사이에서 상당히 신뢰를 얻고 있는, 널리 유통된 일본에 관한 고정관념이나 편견 등을 분석했으면 좋을 것 같다 이를테면, 이 책에서도 언급된 바인데 호류사의 금당 벽화를 담징이 그렸다고 알고 있는데 일본 학계에서는 이것을 인정하지 않는 모양이다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근거를 밝혀 줬으면 좋으련만, 저자는 단지 한국인들이 착각하고 있다고 한 줄로 끝내서 매우 서운하다 아무래도 이런 작업들은 전문가들이 나서 줘야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