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억으로 돈 걱정 없는 노후 30년 - 집자산 2억 연금자산 1억으로 지금 당장 시작하는 노후 전략
홍사황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내가 나이가 들어서인지 읽은 책을 안 읽은 걸로 착각해서 또 읽게 된다.
정말 기억이 가물가물 하다.
일이 너무 많아서인가?
이 책도 읽다 보니 언젠가 읽은 것 같아 알라딘 리뷰를 찾아 봤더니, 정말 내 리뷰가 실려 있다.
이런 거 생각하면 알라딘이 참 고맙긴 하다.

 

당시 읽을 때는 재테크의 허와 실을 짚어 준 현실적인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다시 읽어 보니 거창한 제목에 비해 별 내용은 없다는 생각이 든다.
300 페이지 정도 되는 책이지만, 핵심 내용은 알라딘에 소개되어 있는 그 문단 딱 하나다.
2억짜리 주택으로 주택연금 60만원을 받고, 60만원은 개인연금, 60만원은 국민연금으로 180만원을 충당한 후, 부부가 각각 노동을 통해 180만원을 벌면 360만원의 소득이 생긴다고 한다.
그러면 300만원은 생활비로 쓰고 나머지 60만원은 저축해서 여행이나 의료비 같은 목돈으로 쓰라는 것이다.
결국 핵심은 늙어 죽을 때까지 일을 해서 근로소득을 만들라는 건데, 현실적으로 이게 가능할까?
최저임금제가 계속 올라가고 있으니 청소부나 경비 같은 일용직을 해 볼 수는 있겠지만, 노년기의 가난을 다룬 프로그램을 보니 노인들이 일자리 구하기가 어려워 고생한다는 얘기가 나오더라.
젊은 사람들도 일자리 구하기가 어려운데 과연 아무리 허드렛 일이라고 해도 한 달에 180만원의 근로소득을 만들기가 쉬운 일일까?
정책적으로 국가에서 노인 일자리 만들기 운동을 대대적으로 시행한다면 모를까, 그러나 이것도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재원이 한정되어 있고 노년층의 체력이나 일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로 볼 때 과연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까 싶다.
싱가폴에서는 맥도널드 같은 패스트푸드 점에서 노인들을 고용한다고 소개되기도 하던데, 이제 내가 노인이 될 무렵이면 편의점에서 노인 알바들이 많을지도 모르겠다.

 

젊은이들의 일자리를 만들어 줘야 한다는 이유로 교사 정년을 무려 3년이나 단축시켜 놓고 이제 와서 65세로 정년 늘리자는 공약을 내세우는 정치권을 보고 있으면 한숨이 나온다.
연봉삭감을 통해 정년 후에도 계속 일할 수 있게 만들자고 하는데 기업에서 젊고 팔팔한 근로자를 놔두고 과연 일의 능률이 떨어지는 노인들을 고용하려고 할까?
결국 노인들은 최저임금 정도의 일자리 밖에 얻기 힘들텐데 이런 일들은 체력이 많이 소모되기 때문에 오래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저자는 노년층의 연륜을 믿으라는데 노인들의 체력이나, 변화하는 시대를 따라잡기 힘든 성향 등에 대해서는 너무 간과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더군다나 아파서 눕게 되면 그 때부터는 어떻게 한단 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