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녀 - 궁궐의 꽃
신명호 지음 / 시공사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무척 읽고 싶던 책이었다
알라딘에서 처음 발견하고 꼭 사고 싶었는데,  도서관에 있길래 어찌나 반갑던지...
불행히도 신간 도서라 대출이 안 되서 꽤 오랫동안 기다린 끝에 읽는다
머리 식히기에 딱 좋은 책이다
궁녀라는 소재 자체가 가볍지만, 서술도 아주 쉽게 됐다
신명호가 쓴 "조선의 왕"은 왕이라서 그런지 복잡하고 어려운 내용이 많았는데, 궁녀들은 원래 천한 계급이고 자료가 많이 않아서 아주 쉽게 쓰여졌다

제일 재밌는 이야기는 세종 때의 신빈 김씨였다
소헌왕후의 지밀 내인인데 승은을 입었으니, 얼핏 생각하면 왕비의 심한 질투를 받았을 것 같다
그런데도 왕비가 무척 신임하여 막내 영응대군의 유모 역할을 맡겼다고 하는 걸 보면, 사이가 매우 좋았던 모양이다
소헌 왕후는 시아버지에 의해 친정 가문이 몰락하고 어머니는 제주의 노비로 있었던 불행한 왕비다
그런데도 세종의 사랑을 받아 10명의 아이를 낳고, 그것도 아들만 여덟을 낳았던 다복한 여인이다
친정의 몰락 때문에 몸을 낮췄던 것일까?
아니면 아들도 워낙 많고 남편의 사랑이 극진해 여유가 있었을까?
하여간 참 대단한 왕비다
이런 왕비 밑에서 후궁 노릇 하기는 좀 편했을 것 같다
세종은 정치만 잘한 줄 알았더니 집안 단속도 아주 잘 했던 것 같다
신빈 김씨도 신실한 여자 같다
세종이 죽은 후 정업원에 들어가 남편의 명복을 빌며 스님으로 살았다고 하는데, 아들이 여섯이나 있었던 그녀에게는 쉽지 않은 행동이었을 것이다

궁녀에 관한 시각은 "대장금"에서 완전히 바뀌어 버렸다
그 전에는 평생 시집도 못 가는 불행한 여자라는 생각이 강했는데, "대장금"을 통해 그녀들이 조선 시대의 유일한 여자 전문가였다는 걸 알게 됐다
수랏간 음식을 다룬다는 그 자부심과 전문가 정신이 그녀들의 위상을 높혀 줬다
실제 근무 조건도 나쁘지 않았다고 한다
12시간 일하고 36시간을 쉬었을 뿐더러, 월급도 상당히 많았다
생산량이 극히 적었던 조선 시대에 밥 굶지 않을 정도로 넉넉한 월급을 받았으니, 먹고 사는 데는 지장이 없었을 것이다
성적 측면만 잘 해결된다면 크게 불행하지는 않았을 것 같다
물론 궁궐이라 풍랑도 많고 세력 다툼도 심했겠지만 말이다

조선 최고의 신데렐라는 신빈 김씨 보다는 영조의 어머니 숙빈 최씨가 아닐까 싶다
무수리라면 나인들의 심부름꾼인 물 긷는 종인데, 감히 임금의 아이를 배다니 놀랍다!!
그것도 그 아들이 왕위에 올랐으니 참으로 대단하다
만약 숙빈이 오래 살았다면 최고의 효도를 받았을텐데 고생을 너무 해서 그랬나?
일찍 죽은 것 같다

궁녀들이 4살 때 입궁했다고 하는 건, 작가의 시각으로 보면 어불성설이라고 한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봐도 4살짜리는 먹이고 입히고 대소변도 받아줘야 할 나인인데 이렇게 이른 나이에 데리고 와서 챙겨 줬을 리 만무하다
기본적으로 궁녀들이 궁궐의 노동력을 담당해야 하는데 어린 애들을 키울 여력이 있었을까?
헌종비의 경우 처럼 애 못 낳은 대비나 중전이 수양딸 삼아 데려다 키운 거라면 몰라도 일반적인 입궁 나이는 아니었을 것 같다
실제로 빨라도 7세는 넘고, 10여 세는 되야 뭘 가르치고 일을 시킬 것 아닌가?

세조의 후궁 중 덕중이라는 여자가 있었다
세조가 수양대군 시절 사저에서 아들을 낳아 소용에 봉해졌으나, 그 아들이 죽는 바람에 외로운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세조의 조카인 귀성군 이준을 만난 뒤 마음을 뺏겨 그에게 연애 편지를 쓴다
참으로 대단한 여자가 아닌가!!
왕의 후궁이면서 그 조카에게 연애 편지 쓸 생각을 다 하다니...
아들이 죽지 않았으면 좀 참을 수 있으련만 남편 사랑도 못 받고 자식도 없으니 자기 감정에 더욱 솔직해진 모양이다
귀성군은 당시 제일 잘 나가는 젊은이로 궁녀들의 연모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연애 편지를 받았을 때 얼마나 황당했을까?
자칫 죽음으로 몰릴 수 있는 상황이었다
역시 그의 아버지가 현명하게 일처리를 한다
편지를 즉시 세조에게 바친 것이다

그래도 세조는 대범하게 행동한다
처음에는 덕중의 일을 그럴 수도 있다면서 아무 일도 아니라고 지나쳐 버린다
그러나 세 번째에는 정말로 화가 나 덕중을 사형시키고 편지를 전달한 내시들은 때려 죽인다
덕중은 어쩌자고 세 번씩이나 세조를 화나게 했을까?
사랑하는 마음이란 목숨을 담보로 할 만큼 대단한 것일까?
왕의 아들까지 낳은 사람의 운명 치고는 참으로 기구하다 할 수 있겠다

궁녀들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 여자의 성욕도 의외로 강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지금 나 같으면 그깟 섹스가 뭐 그리 대단하랴 싶은데 나이가 들면 그렇지 않나 보다
목숨을 담보로 내시나 별감과 사랑을 나누고 심지어 동성애까지 손대는 과감한 궁녀들이 의외로 많았다
성욕이 그렇게 대단한 것일까?

상궁 계환의 이야기는 참 안타까웠다
잘못을 저지르면 사형까지 가능했던 조선 시대에는 정국 안정이 목숨 부지에 가장 중요했을 것 같다
광해군과 인조 시대를 산 계환은 부침을 거듭 하다가 결국 옥사하고 만다
기옥이라는 상궁도 마찬가지다
소현세자를 따라 심양까지 간 계환은 결국 모시던 주인이 사약을 받는 바람에 옥에서 비참하게 죽는다
만약 그녀가 주인을 밀고했다면 살았을까?
솔직히 암투가 심한 구중궁궐에서 제대로 된 판단을 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그나마 의리를 지키며 끝까지 버티는 게 최선의 방법이었을지도 모른다
가엾은 궁녀들...

쉽게 읽을 수 있는 재밌는 책이다
어떤 독자는 신명호답지 않게 수준이 떨어지는 책이라고 비판하지만, 역사에 근거한 괜찮은 에세이다
밝혀지지 않은 재밌는 주제들이 자주 나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