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야 - 철의 왕국, 국립중앙박물관 명품선집 07
김정완.이주헌 지음 / 통천문화사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가야라고 하면 막연히 삼국 시대에 낙동강 끄트머리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만 알고 있다.
오히려 일본의 임나일본부설 때문에 더 유명해진 느낌도 든다.
끝내 통일 국가를 이루지 못하고 연맹체 수준에서 신라에 합병되고 말았기 때문에 그 전의 변한이나 진한, 마한 시대처럼 알려진 것이 적지 않나 싶다.
그러나 경상도를 중심으로 한 수많은 고분들이 발굴되고 있는 만큼 보다 입체적인 역사를 그려낼 수 있길 바란다.
요즘 드라마에서도 김수로를 조명하고 있는데 계기가 되어 보다 가야 문화 발굴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가야는 철 생산의 중심지로 낙동강 하구를 이용해 일본과 교역하면서 성장한다.
그래서 철의 왕국이라는 부제가 붙은 것 같다.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처럼 일찌감치 제철기술이 도입되어 철기를 만들고 덩이쇠를 수출하면서 중심세력으로 부상한다.
흥미롭게도 저자는 가야의 실체를 기원 전후가 아니라 3세기 이후로 보고 있다.
얼마 전에 읽은 <철의 왕국 가야>의 저자와는 전혀 다른 시각인데 아마도 3세기 후반을 정설로 보는 게 학계의 중론인 것 같다.
그 전의 역사는 3한 시대로 보는 것이다.
즉 변한과 진한의 시대로 보고, 본격적으로 가야가 성장한 것은 3세기 후반부터 신라에 의해 멸망하는 6세기 무렵까지를 가야 역사로 본다.
이 쪽이 더 고고학적 증거나 정황에 부합할 것 같다.
허황옥이나 석탈해 등의 신화에 대해서는 크게 언급이 없어 아쉽다.
아마 고고학적 증거들이 없는 상황이라 언급하기 어려웠을 것 같다.
처음에는 철이 풍부한 김해를 중심으로 금관가야가 세력을 넓혔는데 5세기 무렵 고구려가 남정하여 낙동강 유역의 교류를 장악하고 후에는 신라가 주변으로 진출하면서 가야 연맹의 주도권은 내륙의 대가야로 넘어간다.
고령을 중심으로 넓은 평야의 생산력을 기반으로 하여 성장한 대가야는, 479년에 남제에 사신을 파견하여 관직을 수여받을 정도로 독자적인 외교를 펼치기도 한다.
새롭게 안 사실은, 신라가 여러 가야들을 복속시킨 게 6세기지만, 이미 그 전부터 고고학적 증거를 보면 금관가야 등의 낙동강 하구 근방의 가야 소국들이 신라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는 것이다.
대형 고분들이 사라지고 부장품으로 신라토기들이 등장하며 신라에서 하사받은 위세품들이 발굴되는 것을 증거로 들고 있다.
그 외의 알려진 가야로는, 함안을 중심으로 한 아라가야, 고성을 중심으로 한 소가야, 한천 옥전고분군의 주인인 다라국 등이 있다.
가야의 무덤은 네 가지 양식으로 나뉜다.
먼저 덧널무덤인 목곽묘다.
전기가야 때 이런 양식인데 부장공간이 커서 대형고분이 많고 유물을 넣어 두는 부곽과 순장도 함께 이루어졌다고 한다.
다음은 구덩식돌덧널무덤, 즉 수혈식석곽묘로 구덩이를 파고 주변에 돌을 쌓아 네 벽을 설치한 다음 시신을 안치하고 천장돌을 덮은 후 봉분을 올리는 양식이다.
5세기 무렵부터 유행했다.
그 후에는 앞트기식돌방무덤, 즉 횡구식석실묘가 생겼는데 이것은 아치형으로 한 면을 입구로 만들어 추가장이 가능했고 땅을 파고 묻는 게 아니라 지상에 묘광을 설치했다고 한다.
마지막 6세기로 오면 굴식돌방무덤인 횡혈식석실묘가 유행한다.
묘도와 널길, 널방, 둘레돌, 봉분 등을 갖춘 양식이다.
정확히 이해한 것은 아니고 나중에 사진 자료를 참조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