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의 제국 가야 - 잊혀진 왕국 가야의 실체
김종성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김종성이라는 저자의 역사적 관점에 대해 동의하기 힘든 부분이 너무 많다.
먼저 읽은 <한국사 인물 통찰>도 그렇지만, 이 책 역시 유추와 비약이 너무 심해 선뜻 동의하기가 어려웠다.
제일 먼저 신나라를 세운 왕망이 사실은 김왕망, 혹은 김망이고 흉노족인 김일제의 후손인데 흉노족에게 나라를 뺏겼다는 걸 인정하기 싫은 반고가 후한서를 쓸 때 김씨 성을 빼고 왕으로 기재했다는 주장.
기존의 역사 기록을 반박하려면 고고학적 발굴 같은 눈에 보이는 분명한 성과가 있어야 하는데 저자의 논리는 이런 식이다.
한 무제 이후 나라의 권력을 잡은 가문은 곽거병과 김일제 가문이었는데 곽거병家가 몰살당항 후 오직 김일제 가문만이 세력을 가졌기 때문에 느닷없이 왕씨 가문이 외척 세력으로 등장할 수 없다는 식이다.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된다, 정황상 이렇게 추론할 수 밖에 없다, 와 같은 추론은 역사적 기술이 부족한 고대사의 경우는 특히나 조심해야 할 부분이다.
지난 번 책에서도 이성계의 조상을 여진족이라고 단정짓는 대단한 비약을 보이던데 이 책에서도 너무 나간다는 생각이 든다.
저자의 주장을 정리하자면 이렇다.
신나라를 건국한 왕망은 김일제의 후손이고 사실은 김왕망이었다.
그는 후한이 건국된 후 집단을 이끌고 양자강을 건너 낙동강 하구에 도착해 가야를 건국한다.
그러므로 김수로는 흉노족의 후예다, 뭐 이런 논리다.
김일제 가문이 후한 등장 이후 한 번도 역사책에 안 나왔기 때문에 이것도 왕망이 곧 김일제 집안임을 방증한다고 주장한다.
제일 문제는, 중국 문명의 근간이 되는 한나라의 중추 세력인 김일제가 사실은 가야의 시조인 김수로의 조상이라면 더 이상 중국인들은 자부심을 갖지 못할 거라는 식의 발상이다.
설사 김수로의 조상이 김일제라고 해도 한나라와 중국 문명의 위대함에 왜 손상이 가는 것인지 이해가 안 간다.
그리고 아무리 생각해도 김일제와 김수로의 연관성은 기록을 지나치게 비약시킨 추론이라고 밖에는 받아들여지지가 않는다.
허황옥의 유래에 대해서는 김병모씨가 쓴 책의 입장을 지지하는데 나 역시 이 책을 읽은 기억이 난다.
아유타국 출신인 허황옥의 조상은, 인도의 아유디야국에서 살았는데 기원전 1세기 무렵 쿠샨 왕조의 침입으로 중국 보주라는 곳에 정착한다.
다시 반란 사건에 휘말려 가야까지 건너와 김수로 집단과 연합했다고 한다.
이 증거로 수로왕릉과 절에 있는 쌍어문이 인도에서 발견된다는 점을 든다.
나도 처음에 이 책을 읽고 굉장한 발견이라고 가슴이 설렜는데, 다른 책에서 이 쌍어문은 불교의 일반적인 상징물이라 인도에서만 쓰이는 것도 아니고 무엇보다 이 능과 절의 쌍어문은 조선 시대 때 불교와의 연관성을 위해 그려 넣은 것이므로 인도 지방과는 아무 관련이 없다는 내용을 읽고 나서 과연 그렇구나 싶어 실망했던 기억이 난다.
누가 쓴 책인지 정확히 기억이 안 나는데 나는 이 쪽에 더 수긍이 간다.
제일 황당한 것은, 석탈해가 왜국으로부터 1천리 떨어진 곳에서 왔다는 삼국유사 기록을 가지고, 1천리 떨어진 곳이라면 캄차카 반도라고 비정한 주장이다.
저자가 말한대로 1천리는 그저 먼 곳에서 왔다는 상징적인 문구일텐데 왜 느닷없이 캄차카 반도라는 구체적인 지명이 등장하는 것인지, 또 이 곳에 난생 설화가 있고 거기에 까치가 등장하므로 석탈해 설화와 유사하니까 그 곳에서 건너 왔다고 주장하는데 내가 알기로는 난생 설화야 말로 많은 민족에서 보편적으로 등장하는 설화이고 까치 역시 그 캄차카 반도와 석탈해 설화에서만 특징적으로 등장하는 새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주장을 위해 주변 상황을 끼워 맞춘다는 느낌이 강하게 들어 동의하기 힘들었다.
그리고 가야의 건국 연도를 과연 기원전 몇 년이라는 정확한 숫자로 받아들여야 하는지도 모르겠다.
저자가 스스로 고백한 대로 가야 건국 즈음에는 역사적 사실 뿐 아니라 설화 형태가 많이 끼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원전 몇 년에 건국하고, 다시 몇 년에 무엇을 하고, 이런 식의 정확한 연대 측정이 과연 믿을만 한가 의심스럽다.
넓은 의미로 그 즈음인 시대구나 하는 식이 아닌, 몇 년에 김수로가 가야를 세웠다, 이렇게 주장하는 건 좀 무리가 있지 않을까?
단일 민족이라는 신화에서 탈피해 여러 세력들이 한반도에 거주하면서 오늘날 한민족을 이루었다는 다민족주의는 변화하는 세계화 시대의 컨셉에도 잘 맞고, 배타적인 민족주의 극복에도 충분히 의의가 있다고 보기는 하지만, 고대사의 해석에 있어 지나치게 오늘날의 관점을 투영시키는 것은 위험하다는 생각도 든다.
외래 세력과 토착민의 연합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것인데도 가야는 인도와 동북 시베리아와 중국 세력 등이 어울어진 진정한 세계주의 국가였다는 식의 주장은, 정말로 매우 현대적인 관점이고 역사 이해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정말 고대사 연구가 진전되려면 고고학적 발굴 성과에 기초해 추론을 전개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증거 없이 문자만 가지고 당시 상황을 구체적으로 해석하는 건 너무 앞서가는 모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