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인의 역사
앨버트 후라니 지음, 김정명.홍미정 옮김 / 심산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책을 받아 보고 두께에 일단 기가 질렸다.
800페이지가 넘는 엄청난 분량이라 계속 미뤄 왔는데 막상 읽어 보니 상당히 쉽게 쓰여 있고 이슬람의 역사를 시간 순서대로 쭉 기술해 이야기책 읽듯 편하게 넘길 수 있었다.
이슬람에 대한 책을 몇 권 읽어서인지 아주 생소하거나 어렵지는 않았다.
역시 독서의 가장 중요한 힘은 배경지식과 호기심인 것 같다.
번역하는 사람들이 주석을 매우 성실하게 달아 놔서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
번역도 무척 매끄럽다. 

이슬람 하면 막연히 동질된 세계라고 인식했는데 발전 과정을 살펴 보니 상당히 이질적인 세계가 이슬람교라는 종교적 테두리 안에서 정체성을 갖고 모인 다양한 집단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특히 Maghreb 이라고 불리는 북아프리카는 서아프리카 등과는 상당히 구별되는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었다.
아라비아 반도에서 시작된 이슬람교가 우마이야 왕조와 압바스 왕조를 거쳐 오스만 제국에 이르는 동안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 등으로 뻗어갔고 이 오스만 제국이 19세기 들어 유럽 열강에 먹히면서 북아프리카 지역은 아프리카 내에서 더욱 유럽과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됐다.
이 책이 두꺼워진 이유가 단순히 역사적 사건만을 나열한 게 아니라 이슬람교의 교리에 대해 상당히 많은 부분을 투자했기 때문이다.
수피즘은 당시 유행하던 동방 정교회의 수도원 제도 등에 영향을 받은 신비주의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크게 보면 이슬람은 정통 율법주의인 순니파와 수피즘에 영향을 받은 쉬아파로 나뉠 수 있는데 수피즘은 춤과 음악, 시 낭송, 집회 등을 통해 알라와의 합일을 추구하는 일종의 영지주의라 할 수 있겠다.
눈에 보이지 않고 느낄 수도 없는 절대자와의 정신적 일치를 위해 몰아지경의 세계로 가려는 인간의 종교성에 항상 놀라곤 한다.
모든 종교가 다 그렇겠지만 어떤 의미로 보면, 종교인들이 느끼는 희열은 집단 환상에 의해 스스로 창조해 내는 상상의 이미지가 아닐까 싶다.
알라라는 절대자와 가까워지고 싶어하는 무슬림들의 욕구는 하나님을 찾는 기독교와 전혀 달라 보이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