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비밀편지 - 국왕의 고뇌와 통치의 기술 키워드 한국문화 2
안대회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템은 좋으나 컨텐츠는 썩 만족스럽지는 않다.
워낙 흥미진진했던 주제라 기대가 너무 커서인가?
아니면 150여 페이지의 짧은 분량으로 담아 내기에는 너무 큰 주제였을까?
언론에 처음 정조의 어찰이 공개됐을 때 굉장히 흥분했던 기억이 난다.
이덕일 등에 의해 정조 독살설이 역사인양 유포됐던 상태라, 그 배후로 지목됐던 심환지에게 정조가 보낸 300여 통의 어찰이 공개됐으니 얼마나 흥미로운 일인가.
이덕일씨는 이 어찰 공개로 인해 더더욱 정조 독살설이 사실로 확인됐다는 말도 안 되는 논리를 펴고 있는데, 아쉽게도 이 책의 반증 논리 역시 썩 훌륭하지는 못하다.
너무 당연한 것이라 따로 증명하기가 오히려 어려운 탓이었을까?
정조 시대를 본격적으로 연구한 학자들의 책이 출간되길 기대해 본다. 

역사적으로는 정치 상황과 관련된 내용들이 조명을 받겠지만, 일반인의 입장에서는 정조의 개인적인 성격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 더 흥미롭다.
아버지 사도세자를 닮았는지 꽤나 격정적이고 다혈질의 성격이었던 것 같다.
여덟 살의 어린 나이에 외숙모에게 보낸 안부 편지를 보면 꼬마 아이의 붓글씨 솜씨에 미소가 지어진다.
글씨쓰기와 편지쓰기를 꽤나 즐겨했던 모양으로 이번에 공개된 것 외에도 혜경궁의 집안에서 첩으로 묶은 어찰도 다수 존재한다고 한다.
심환지에게 보낸 편지는 정치 사안에 대한 긴박한 문제들이였기 때문인지 급하게 속필로 써 내려갔고 한문이 아닌 우리말 어순으로 쓴 문장도 많았다.
심지어 "뒤죽박죽" 이라는 한글 단어도 있었다.
하루에도 몇 번씩 편지를 주고 받았다고 하니, 오늘날로 보면 심환지와의 사이에 핫라인이 형성된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