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앙코르와트, 월남가다 - 하 - 조선인의 아시아 문명탐험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5년 2월
평점 :
몇 년 전에 처음 이 책을 읽었을 때만 해도, 도올의 해박한 앙코르 와트 지식에 감탄했고 그래서 이번에 다시 일독하게 됐다.
그러나 처음의 좋았던 인상과는 다르게 두 번째 읽는 책은, 지식적인 면에서는 수확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거부감을 많이 느꼈다.
아래 리뷰처럼 자신에 대한 자만심이 너무 지나친 게 아닐까 이런 생각이 든다.
부조를 하나하나 설명하면서 기존의 인문학적 지식과 엮어서 설명하는 것은 역시 수준이 높다, 칭찬할 만 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나가는 것, 이를테면 승려가 어린 소녀의 처녀막을 손으로 파괴시키는 관습에 대해 우주적 생산력이 어쩌고, 여성의 순결 이데올로기를 깨부수고, 이런 식의 과대해석에 동의할 수도 없을 뿐더러 매우 불편했다.
어떤 사회든 나름의 관습이 있고 또 오래 지속되었다면 그 사회만이 갖는 독특한 가치체계나 유용성이 있을 거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한 문명의 관습을 소개할 때 그것이 갖는 의의를 설명하는 정도에서 그쳐야지 너무 나가서 관념론적 의미 부여를 한다거나, 반대로 미개하다느니 잔혹하다느니 이런 식으로 평가를 내리는 것은 지극히 필자가 갖는 편견이고 주제넘은 짓이라고 생각한다.
현재의 가치관에 빗대어 고대 문명이나 관습 등을 비하는 것도 문제지만 관념적 언어 유희를 끌어다 붙여 자신의 사상을 입증하는 도구로 쓰고 썰을 푸는 건 수준 낮은 짓이다.
기행문을 선택한다는 것은 일종의 모험이라는 생각이 든다.
감동을 주는 기행문을 찾는다는 것 자체가 어쩌면 일종의 행운이 아닐까?
개인 블로그에나 올려야 할 수준의 잡문들을 버젓이 책이랍시고 출판하는 일종의 출판공해물들은 언급할 가치고 못 느끼고 개인의 감상에만 치우쳐 여행지에 대한 정보 소개를 소홀히 한다면 그것도 내용적인 면에서는 부족할 것 같다.
그렇다고 전적으로 사실 전달만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
사진 역시 필수는 아니더라도 좋은 기행문을 만드는 충분조건 정도는 된다는 생각이 든다.
좋은 기행문의 기본 조건은, 어떤 글이든 마찬가지겠지만 일단 문장력이 좋아야 한다.
적어도 비문은 없는 올바른 문장을 구사해야 하고, 글에 유머와 품격이 있다면 더 좋을 것 같다.
또 적어도 책으로 출판한다면 여행지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 수준의 지식은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왕이면 좋은 사진도 추가되면 금상첨화일 것이고.
좋은 기행문을 만난다는 게 이렇게도 힘든 일인가 새삼 느낀다.
덧붙이자면 이번 앙코르와트 여행 때 가이드가 도올 선생 얘기를 몇 번 했었는데 이제 보니 이 책을 읽었던 듯 하다.
설명하는 포인트나 심지어 비판하는 점까지도 책의 내용과 일치해서 웃음이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