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치아에서의 죽음 Mr. Know 세계문학 38
토마스 만 지음, 홍성광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아, 정말 어렵게 읽은 책이다.
영화를 먼저 봤고 대체 뭘 말하고 싶은 건지 이해가 안 되서 원작을 봐야지 벼르다가 정말 힘들게 빌려서 읽었다.
여러 단편들이 실려 있는데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을 읽고 다른 단편들은 도저히 도전할 용기가 없다.
나는 일단 서사구조가 약하면 재미가 없다.
아무래도 내가 이해할 수준이 안 되는 것 같다.
노벨 문학상을 받은 토마스 만의 작품을 읽었다는데 의의를 두고 싶다. 

소설 속의 타치오를, 영화에서 스웨덴 아역 배우가 정말 완벽하게 재현했다.
앞부분에 실린 아센바흐의 예술가로서의 고뇌는 영화에서 표현이 안 되지만 베네치아에 도착한 후 타치오 곁을 떠나지 못하고 방황하는 장면은 정말 완벽하게 재현했다고 생각한다.
영화가 소설을 제대로 그려내기가 참 어려운데 굉장히 충실하게 그려냈다고 생각한다.
특히 타치오에게 잘 보이기 위해 우스꽝스러운 화장을 하고 죽음의 그림자가 덮쳐 땀을 삐질삐질 흘리면서 더운 베네치아 거리를 헤매는 아센바흐의 모습은 정말 완벽했다.
영화 속의 타치오는 토마스 만이 그리고자 했던 바로 그 완벽한 아름다움을 가진 미소년이 아니었을까 싶다.
동성애, 사실 공감하기 어렵다.
예술가로서의 예민한 감각과 약한 체력을 가진 아센바흐가, 문장으로 귀족 칭호까지 하사받은 그가 거리의 어떤 남자에 의해 자극되어 자기도 모르게 여행을 떠나게 되고 거기서 마음을 움직이는 미소년을 만나 그 곁을 맴돌다가 전염병의 화마를 피하지 못하고 발목이 잡혀 죽고 만다.
소년에게 다가가기 위해, 어서 피하라는 말을 전하기 위해 젊어 보이려고 화장을 하는 노대가의 우스꽝스러운 모습이 소설의 백미다.
결국 그는 단 한 마디 말도 건네지 못한 채 해변가에서 숨을 거둔다.
동성애, 특히 어린 소년에 대한 애정, 문득 그리스인들의 동성애가 생각난다.
어른이 미소년을 상대로, 어쩌면 젊음에 대한 동경, 아름다움에 대한 찬사 이런 형태가 아니었을까? 

앞부분에서 작가는 아센바흐의 예술가적 자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약한 체력을 보완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글을 쓰고 외부와의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고 자기 안에 함몰하는 남자.
미친듯이 몰아쳐서 글을 쓰기 보다는, 재능을 낭비하지 않고 엄격한 자세로 집필하는 정말 독일인다운 작가.
삶의 욕망을 모두 금기시하고 게으름이나 사치는 생각도 할 수 없고 오직 성실하게 문장을 이어나가는 남자.
일반적인 천재적인 예술가와는 상당히 다른 느낌이었고 어쩌면 내가 그려온 그런 작가상이 아닐까 싶다.
눈에 보이는 감각적인 즐거움은 모두 부질없는 것으로 치부하고 오직 정신적인 것, 신성한 그 무엇을 향해 인고하고 절제하며 금욕하는 남자!
사실 이 소설을 완벽히 이해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작가가 창조한 이 예술가에 대해 애정이 생기고 또 하나의 창조물 타치오에 대해서도 애착이 간다.
다들 재밌다고 감탄하는 <부텐부로크 가의 사람들> 을 읽어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