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
코맥 매카시 지음, 정영목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소설을 별로 안 읽는 편이라 그래도 고전은 읽자, 의식적으로 노력을 하는데 이 책은 교수님이 너무 재밌다고 추천해 주셔서 읽게 됐다.
시사주간지에서도 이슈를 일으키고 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워낙 유명해서 도서관에서 항상 대출 중이라 빌리는데도 정말 오래 걸렸다.
리뷰를 보니 무려 200여개가 붙어 있다.
과연 인기를 실감하겠다.
절반 정도를 읽고 있는데 솔직히 내 스타일은 아니다.
나는 이런 식의 건조한 문장을 안 좋아한다.
나는 사람의 심리 묘사를 섬세하게 풀어내고, 사건 위주로 속도감 있게 전개하는 스타일을 선호한다.
이를테면 은희경처럼 인간의 위선을 까발린다거나, 얼마 전에 완전 감탄하면서 읽은 <지상에서 영원으로>처럼 외부 환경과 투쟁하는 나약한 인간의 심리 변화 같은 소설에 열광한다.
이 소설은 맞는 비교인지 모르겠으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과 서술 스타일이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주제는 전혀 다르지만 문체나 풀어가는 스타일이 얼추 비슷해 보인다.
그 책도 참 힘들게 읽었는데 이 책도 빠져들기가 쉽지는 않다. 

다만 설정은 충격적이다.
자세히 묘사되지는 않았지만 지구에 큰 재앙이 생기고 이제 인간은 석기 시대처럼 먹을 것을 찾아 끝없이 방랑해야 한다.
온 세상은 눈에 덮혀 추위와 싸워야 하고 식량 따위는 없다.
살아남은 사람들은 서로 죽이고 심지어 인육을 먹기까지 한다.
그러므로 길가다 사람을 발견하면 그를 죽이던지 죽어야 하는 끔찍한 상황이다.
주인공 남자는 어린 아들을 데리고 따뜻한 남쪽을 찾아 기약없는 방랑을 하고 있다.
곳곳에서 마주치는 살해 위협, 배고픔, 추위...
아들은 혹시 아버지가 사람을 죽여서 먹을까 봐 두려워 한다.
보통 한국적 정서는 자식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희생적인 아버지상이 대부분인데 대체적으로 서구 소설들은 일방적인 희생이나 끈끈한 정이 부족한 느낌이 든다.
좋게 말하면 쿨 하고 좀 밋밋하다고 해야 할까?
이 소설에서도 아버지는 내가 죽는 한이 있어도 내 자식은 꼭 지키겠다는 사명감에 불타기 보다는, 그냥 보호해 줘야 하는 연약한 존재, 그러다 죽더라도 어쩔 수 없다는 약간 체념 비슷한 허무감을 느꼈다.
평론에서는 그런 부모 자식 관계가 이 소설의 포인트라고 읽었던 것 같기도 한데 하여튼 굉장히 건조하다. 

이들의 여정을 읽으면서 문명 시대 이전의 우리 조상들을 생각해 봤다.
대체 그들은 그 추운 빙하기를 어떻게 견뎌 냈을까?
제대로 된 옷도 없고 신발도 없고 (오늘 기사를 보니 구석기 초기에 이미 신발을 신었다는 증거가 나왔다고 하지만) 추위를 가릴만한 집도 없고 비축해 놓은 곡식도 없고 그저 사냥을 하면서, 그것도 어설픈 돌맹이 몇 개로 덩치 큰 짐승들과 싸우면서 대체 어떻게 살아 남았을까?
새삼 인간의 진화 과정이 놀랍고 감탄스럽다.
어쩌면 이런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끈질지게 살아남아 결국은 온 지구를 생존의 패러다이스로 만들고야 만 인간의 이 놀라운 업적이야 말로 신의 섭리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만원 지하철에 시달리면서 이 책을 읽다가 문득 드는 생각이, 나는 걸핏하면 죽어 버릴까, 이렇게 살아서 뭐하나, 먹고 사는 게 왜 이리 비루하냐, 이런 식으로 도무지 적극적인 생의 의지라고는 없는데 어른들 말씀대로 정말 배가 불러서 온갖 쓸데없는 생각을 하는 게 아닐까 싶다.
그런 식으로 따지면 석기 시대 원시인들은 그 험한 환경에서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온갖 고생을 하면서 살아 남았을까?
이 책에서도 그렇다.
이렇게 힘든데 왜 기어이 살겠다고 목적지도 없이 그저 걸어간다는 말인가?
죽느니 보다 못한 상황이니 차라리 죽어 버리지.
정말 자살은 지극히 문명적인 상황에서만 가능하다는 생각이 든다.
실감나게 묘사된 자연 상태의 벌거벗겨진 인간의 삶을 읽으면서 생존 의지야 말로 인간의 본능이고 자살 충동이 우울증에 따라오는 확실한 정신병이구나 싶다.
이런 결론을 내는 게 좀 우습기도 하지만, 새삼 빙하기를 견뎌 내고 문명 사회를 이룩한 우리 조상들이 위대하게 느껴진다.
또 스스로 먹이를 구해야 하는 야생동물들의 삶이 얼마나 척박한지 알 것 같고, 갇혀 있는 삶은 아무리 배가 불러도 불행하다, 이런 식의 감상은 진짜로 먹고 사는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문명화 사회의 인간이 할 수 있는 언어 유희가 아닐까 싶다.
아직 절반 밖에 못 읽었는데 나머지도 열심히 읽어봐야겠다. 

 

드디어 다 읽었다.
충격적인 장면이 나왔다.
아버지와 아들은 불을 피우면서 뭔가를 구워 먹으려는 사람들을 발견한다.
총을 든 남자를 피해 그들이 도망가자 부자는 기대를 품고 장작더미로 간다.
그런데 꼬치에 꽂혀 있는 고기는 이럴 수가, 짐승이 아니라 머리가 잘린 아기였다!
지하철에서 이 부분 읽다가 토할 뻔 했다.
전국 시대에 인육이 성행했다는 중국 사서의 기록이 정말로 실감나는 순간이다.
그 후 아들은 우리는 사람을 안 먹을 거죠? 하면서 자주 확답을 받는다.
얼마나 충격적이고 무서웠을지 상상이 간다.
영화로 만들어진다던데 과연 이 장면을 어떻게 처리할지 기대된다. 

불행히도 아버지는 객혈을 하다가 죽고 만다.
피를 쏟으며 기침을 하다가 결국 다음 날 싸늘한 시체로 발견된 아버지 곁을, 소년은 떠나지 못한다.
길을 떠돌아 하는 만큼 담요는 추위를 막기 위해 필수인데도 아버지의 시신에 담요를 덮어 두고 떠난다.
마지막에 다른 일행에 합류하는 걸로 나오는데 소년이 늘 꿈꾸던 바로 그 착한 사람들일지 궁금하다.
단순히 자연과의 투쟁이 아니라 나 외의 다른 존재가 내 생명을 위협하는 적이 되는 진정한 만인에 의한 투쟁 상태, 아, 정말 문명화 이전의 원시 사회는 무서웠겠구나.
오늘날 이 만큼의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인권과 생명 존중의 풍조가 자리잡은 것도 기나긴 진화의 결과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