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가 결혼했다 - 2006년 제2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박현욱 지음 / 문이당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제목이 특이해서 일단 영화로 먼저 봤고 손예진의 매력에 풍덩 빠져 책까지 읽게 됐다.
대체 얼마만에 읽은 소설이란 말인가!
요즘 소설이 트렌드는 역시 발랄한 문체와 재미인 것 같다.
지극히 현대적인 문체와 서술방식에 푹 빠져 정말 재밌게 읽고 있다.
이런 책에 비하면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대체 얼마나 무겁단 말인가! 

영화가 책을 압도하기가 어려운 까닭은 긴 분량을 자랑하는 책에 비해 짧은 시간에 압축적으로 사건이나 주인공들의 심리 변화를 묘사해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
과연 그 압축성을 관람객이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인지가 성공의 관건이다.
결국 영화는 장면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심리변화나 사건의 전개를 따라가기 보다는, 관람객들의 시선을 한 번에 사로잡을 수 있는 임팩티브한 영상을 제공하는 것, 이것이 영화의 승부 포인트가 아닐까 싶다.
이 책 역시 영화보다 소설이 더 재밌다.
시시각각 변하는 남자 주인공 덕훈의 심리변화와 속마음을 따라갈 수 있어 정말 재밌다.
축구와 연결지어 남녀간의 사랑과 결혼 등을 기술하는 기법이 신선하다.
흥미유지에 도움이 된다. 

나는 늘 인아처럼 결혼 안 하고 연애만 하는 삶을 꿈꿔왔다.
언젠가 나도 지금의 남자친구에게 연애는 나랑 하고 결혼은 착한 여자와 하라는 소리도 했다.
나는 결혼제도가 너무 싫었고 어쩔 수 없이 시댁에 들어가는 한국의 가부장적인 문화가 못마땅했다.
여기 나온 인아의 대서처럼 나는 결혼이라는 제도에 안 맞았다는 생각이 들었고 결혼을 하더라도 결국 이혼하게 될 거라는 두려움에 아예 처음부터 나는 결혼은 안 하겠다 선언을 하고 연애를 했던 것 같다.
그런데 지금 나이가 들어 생각해 보니 사회의 일반적인 제도에서 비껴 가려면 상당한 베짱과 능력과 용기가 있어야 한다는 걸 그 때는 잘 모르고 있었던 것 같다.
아무나 시몬느 드 보부아르처럼 살 수 있겠는가?
그런 지성과 사회적 위치와 능력이 안 되는데 표준적인 라이프 스타일에서 혼자 떨어져 산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이지 몰랐다.
나는 책에서 접하는 멋진 독신 여성들을 나와 동일시 했고 나도 그렇게 할 수 있다고 착각했던 것 같다.
이 책 속의 인아도 보통 사람과는 좀 다른, 강단있고 무엇보다 섹스를 즐길 줄 아는, 정말로 술과 연애를 사랑하는 멋진 여자다.
영화 속의 손예진을 본다면 저 정도 여자라면 남편 둘 데리고 살아도 되겠다 싶을 정도로 그 매력에 반할 것이다.
나는 손예진처럼 매력있는 여자도 아니고, 보부아르처럼 능력있는 지성인도 아니고 그저 평범한 소시민일 뿐인데 왜 그렇게 일반적인 룰을 싫어하고 거부했었는지 모르겠다.
다만 바라는 게 있다면 특별한 용기와 결심 없이도 결혼을 자연스럽게 선택할 수 있는 사회가 왔으면 하는 것이다.
골드 미스들이 늘고 있고 독신 가구도 증가한다지만 여전히 결혼을 거부하는 것은 용기가 필요하다.
결혼과 출산 같은 지극히 개인적인 선택을 자발적으로 할 수 있는 사회가 온다면 얼마나 행복할까!
나는 아무래도 한 30여 년 후에나 태어났어야 할 것 같다. 

나는 인아의 연애관과는 조금 다르다.
인아는 남자처럼 섹스를 즐길 줄 아는 여자이고 그래서 사랑과 섹스가 별개임을 충분히 이해하고 독점적인 관계를 고집하지 않는다.
그러나 나는 사랑이야 말로 지극히 독점적이고 소유욕이 강하며 사랑할수록 집착하게 되고 특히 육체적 관계는 매우 배타적이라고 믿는다.
정말로 상대방의 다른 성관계에 대해 알면서도 아무렇지 않게 넘어갈 수 있는 쿨한 사람이 얼마나 될지 궁금하다.
돈을 주고 성을 사는 행위조차도 파트너의 입장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일인데 하물며 결혼이라는 제도 안에서야!
다양한 결혼의 형태를 제시한다는 점에서는 마음에 들지만, 인아처럼 진정한 의미의 자유연애주의자는 내 입장에서는 불가능하다.
다만 모든 사랑의 완성이 꼭 결혼이라는 제도 속으로 들어가야 비로소 안정적으로 끝을 맺는지는 의문이다.
서로의 생활 공간을 유지하면서 독립적으로 사랑을 나누는 것이 내 소망이다.
동거도 한 공간에서 살아야 하기 때문에 나는 별로 탐탁치 않다.
그래서 주말부부처럼 가끔 만나는 사이도 괜찮을 것 같다. 

취미의 공유, 그것도 열렬히 좋아하는 축구 같은 취미를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얼마나 행복한 일인지!
여자가 이렇게 축구 좋아하기는 어려운 일인데 정말 덕훈의 입장에서는 인아가 너무 사랑스러울 것 같다.
내 경우에 빗대어 보자면 인문학 서적에 열정을 가진 사람, 도서관이나 서점 가는 걸 최고의 기분전환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한 달에 책을 몇 권 읽었는지를 보람으로 여기는 사람이라면 파트너로써 완벽할 것 같다.
삼엽충에 관한 책을 읽은 뒤 세상에 이렇게 귀여운 고대의 지배자를 모르고 살았다니 어쩜 이럴 수가 있을까요! 라고 감탄하면서 서로 이야기 할 수 있다면!
사랑은 반드시 비슷한 사람끼리 이뤄지는 건 아니지만 기왕이면 취미와 취향을 공유할 수 있다면 더욱 행복할 것 같다.
난 정말 리처드 포티가 쓴 <삼엽충>을 읽고 나서 내가 그동안 이 존재를 모르고 살았다는 게 너무 기막히고 황당해서 탄식이 나왔는데 남자친구는 삼엽충이 뭔 벌레냐? 이런 어이없는 반응을 보여 좌절한 적이 있다.
삼엽충과 내 인생이 무슨 상관관계가 있다고 이렇게 흥분을 하는지.
그런데 또 이런 지식의 확장이 인생을 풍요롭게 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하니 더욱 열심히 책을 읽을 수 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