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은 어떻게 죽음을 맞이하는가
셔윈 B. 뉴랜드 지음, 명희진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죽음에 대한 에세이라고 할까?
죽음의 진행 과정에 대한 의학적인 분석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물론 의학적인 내용도 있지만 그보다는 에세이 성격이 강하다.
가끔 이런 학자들을 볼 때마다 감탄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 전문적으로 글쓰는 훈련을 받은 사람도 아닌데 어쩌면 이렇게 훌륭한 문장과 전개를 할 수 있는지 놀라울 뿐이다.
에세이는 아무나 쓸 수 있다는 생각이 강한데 하는 일이 특이하다고 해서 자기 일과 관련된 일을 휘갈겨 쓰는 게 에세이는 아니다.
자기 개인 블로그에나 올릴 만한 일을 용감하게 출판하는 사람들을 보면 무식하면 용감하다는 말이 실감난다.
대학병원 의사로 활동하다가 은퇴 후 의학사를 가르치는 저자의 약력답게 그는 의학적인 면과 그 안에서 실제로 병과 싸우는 환자의 이야기를 잘 조화시켜 담았다.
동유럽 유대인 이민자의 자손이었던 저자는 96세까지 살다 간 할머니의 죽음을 옆에서 목격하면서 죽음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된다.
의사가 된 것도 그 때의 경험이 컸다고 한다.
의사들은 저자가 지적한 바대로 죽음 앞에서 선 환자들을 한 개인으로 대한다기 보다는, 수수께끼를 풀고 싶어 하는 전문가이기 일쑤다.
알고자 하는 욕구, 병과 인체의 메커니즘을 풀고자 하는 의도가 오늘날의 의학 발전을 이뤘으나 그만큼 환자와의 개인적인 관계는 멀어질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전인적 치료라는 슬로건이 등장한 배경에는 환자를 일종의 실험 대상으로 삼는 오늘날의 의학 풍토가 한 몫 했을 것이다.
한 때 의사도 직업인에 불과하므로 지나치게 높은 사명감과 연민을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는 생각을 했었다.
매일 죽어 나가는 환자들에게 지나치게 애정을 품다 보면 곧 지쳐 나가 떨어지지 않을까 싶었다.
TV에 나오는 허준 같은 스타일의 의사는 일단 그가 명의냐 아니냐를 떠나서 모든 환자를 하나의 개인으로 대하는 것은 환상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나이가 들고 여러 경험을 하면서 의사라는 직업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된다.
비단 의사 뿐 아니라 모든 직업이 다 마찬가지가 아닐까 싶다.
학교 선생님도 그렇고 물건을 파는 상인들도 그렇고 사람을 대하는 직업인은 누구나 일 그 자체만이 아니라 상대하는 사람과의 관계맺음이 풍성할수록 직업으로서의 완성도도 높아진다고 생각한다.
저자는 전문화로 흐르는 의학계에 대한 대안으로 가정의 제도를 활성화시키자고 제안한다.
큰 병원, 최첨단 시스템을 원하는 환자들이 과연 일반의나 가정의를 얼마나 신뢰하고 자신의 몸을 맡길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가정의의 장점은 환자와 오랫동안 인간적인 관계를 맺어오기 때문에 큰 병원에서 그저 며칠 얼굴 잠깐 본 전문의와의 직업적인 관계가 아니기 때문에 환자 입장에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마치 내 친척 누구가 아플 때 조언하는 것처럼 말이다.
특히 항암치료처럼 치료 자체가 생명을 위험하게 만들 수 있는 경우 끝까지 치료를 할 것인지 아니면 존엄한 죽음을 맞을 것인지에 대해 현명한 조언을 할 수 있다.
사실 의학적 지식이 없는 환자에게 선택을 하라는 것은 (그것도 목숨이 달린 선택을!) 비현실적이고 잔인하지 않나 싶다.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중요시 되고 있으나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인간적인 관계를 맺어 온 주치의가 있다면 훨씬 도움이 될 것 같다.
죽음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다.
누구나처럼 나 역시 죽음이 두렵고 종교나 장례 문화가 발달한 이유도 바로 그 죽음의 공포를 이겨내기 위함이라고 생각한다.
내세가 있을 거라는 희망이 없다면 어떻게 생명의 끈을 놓겠는가?
그러나 죽음은 피할 수 없는 과정이고 저자의 말대로 자연이라는 큰 틀에서 볼 때 우리는 생명의 순환 고리 속에 놓여 있다.
앞의 생명들이 죽었기 때문에 우리가 태어날 수 있었고 생로병사라는 자연적인 과정을 거쳐 다시 사라져 줘야 또다른 생명이 태어나지 않겠는가?
몽테뉴처럼 끊임없이 죽음을 의식하고 사색하고 연습한다면 불시에 찾아오는 죽음을 겸허하게 받아들일 수 있고 또 살아 있는 동안 최선을 다해 양보다 질을 추구하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생명 연장에 대한 시도가 끊임없이 이루어지지만 한계가 있고 노화는 생명이 사라지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사실 몇몇 환자들의 끔찍한 임종을 접하면서는 너무 무서워 가슴이 떨리기도 했다.
협십증으로 가슴이 옭죄어 오는 고통 속에 죽어가는 사람들, 뇌혈관이 터져 죽는 사람들, 칼에 찔려 저혈량 쇽으로 죽은 사람들 등등 병마에 의한 죽음은 어떤 죽음이든 평온하지 못하다.
삶을 정리할 시간을 갖고 평온한 죽음을 맞는 것이야 말로 우리가 할 최후의 의무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