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군, 만들어진 신화
송호정 지음 / 산처럼 / 2004년 10월
평점 :
사실 이 책은 띄엄띄엄 읽어서 쓰기가 좀 민망하다.
지하철에서 대충 읽고 다시 보려고 했는데 한 번 본 부분을 다시 보려니 집중이 안 돼서 결국 재독은 포기했다.
약간의 변명을 하자면 저자도 이 책을 본격적인 학술서라기 보다는 가벼운 에세이 정도로 기술한 것 같아 재독이 어렵기도 했다.
저자의 주장에는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다.
한 때 이덕일이 쓴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 어쩌고 한 책을 그래도 나름 고대사에 대한 의견 개진이라고 경청하면서 읽은 적이 있는데, 이번에 정조 편지 발굴 때 보여준 그 억지스러운 태도에 질려서 이제 나는 이덕일을 역사학자로 인정하지 않기로 했다.
진정한 역사학자라면 자기 주장과 다른 증거가 나왔을 때 최소한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겠다는 태도 정도는 보여줘야 하는 게 아닐까?
전면적으로 내가 틀렸다, 라고 할 수는 없을지라도 곤혹스러워 하는 모습 정도는 보여 줘야 하는데, 오히려 그 편지 때문에 더더욱 심환지가 정조를 암살했을 거라면서, 암살은 최측근에서 일어난다는 말도 안 되는 억지를 보면서 정말 한숨이 나왔다.
혜경궁 홍씨를 남편 죽인 비정한 여인네로 몰면서, 한중록을 죄다 거짓말이라고 몰아 세우고 정조 독살설을 유포시켜 엄청난 인세를 긁어 모으더니만, 이제 그 위치가 어떻게 추락할지 정말 기대된다.
이런 학자가 쓴 고조선 대륙 지배설은 도저히 신뢰할 수가 없다.
저자는 아마도 국내에서 거의 유일한, 혹은 매우 드문, 고조선 전공자인 것 같다.
비파형 동검이 발견됐다고 해서 다 고조선 영토냐, 이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점에 대한 논증은 이미 다른 사람의 책을 통해 충분히 인지했던 바이고, 고대에 넓은 영토를 지배했다고 해서 우리 민족의 우월성이 높아지는가는 정말 생각해 볼 문제다.
저자의 말대로 남만주 일대와 서북한 지역에 걸쳐 비슷한 문화권을 지닌 집단이 살고 있었고 끊임없는 유입을 통해 고조선이라는 국가로 성장해 나갔을 것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제국이 생겼다는 가정은 대체 어디서 오는 것일까?
이덕일이 쓴 책에서는 왜 신석기 시대에 국가 형성이 불가능하냐고 반문하는데, 그렇다면 북한학계의 주장대로 세계 4대 문명에 덧붙여 대동강 문화도 끼워 넣어야 할 것이다.
역사 스폐설이 좋은 프로그램이라 생각하면서도 그 어설픈 논리 전개에 거부감을 가질 때가 많았는데 고조선 문제에 대해서도 저자는 분명히 억지 논증을 지적하고 있다.
다른 사람의 책에서 읽은 건데, 백제의 고을명이 중국에도 있다는 이유로 백제의 영토가 산둥 반도에 이르렀을 거라는 역사스페셜의 추리를 비판했다.
이 책에서도 단지 방어 시설 몇 개가 발굴됐다고 해서 고조선의 도성이었다고 주장하는 것은 무리라고 지적한다.
국가가 형성되기 전에도 지역민들끼리 철책 등을 세운 방어촌락이 있었다고 한다.
고대사에 대해 현실적으로 추론하면 식민주의자라느니,민족 정신이 부족하다느니 하는 비판도 이제는 그만해야 할 것 같다.
오히려 이런 국수적인 태도가 중국의 동북 공정처럼 대외 관계를 어렵게 하지 않을까?
어떤 역사학 까페에서 본 글인데 일본이나 중국 네티즌들이 한국을 싫어하는 이유 중 하나가 무조건 한국 기원설이라고 우기기 때문이라고 한다.
뭐든 오래된 거, 최초는 죄다 한국 꺼라고 한다는 것이다.
마치 우리가 중국의 동북 공정 비판하는 것처럼 말이다.
저자도 지적한 바지만, 백제인들이 일본 건너가서 문화 전달해 준 것은 자랑하면서 왜 연나라 등에서 철기 문화 들여온 것은 인정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생겼다고 주장하는가?
오히려 이런 국수적인 태도야 말로 문화 발전을 저해한다는 생각이 든다.
지극히 상식적인 주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읽으면서 별 무리가 없었고 에세이 성격이 강해서 보다 아쉬운 점이 있었다.
같은 저자가 쓴 <역사 속의 고대사>를 읽어 볼 생각이다.
도서관에서 누가 훔쳐 갔는지 분실했는지 자리에 없는 걸로 나와 기다리고 있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