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선비와 일본 사무라이 ㅣ 표정있는 역사 7
호사카 유지 지음 / 김영사 / 2007년 6월
평점 :
도판이 무척 화려하고 책 분량은 작지만 내용은 알차다.
한국인으로 귀화한 일본인이라는 특이한 이력 때문에 한국어로 글을 쓰면서도 일본의 역사나 전통 문화, 혹은 자국인만이 느낄 수 있는 독특한 감성 등을 잘 풀어썼다.
그러나 지나치게 한국인이라는 것을 의식한 탓인지 엄격한 비판이나 비교 보다는 가능하면 조선 선비의 유학 정신을 좋은 쪽으로 해석하려고 애쓴 모습이 눈에 띄어 조금 불편하기도 했다.
귀화인이기 때문에 더욱 진정성을 가지고 한국의 전통 문화나 정신에 대해 관대함을 갖는다는 느낌이 든다.
차라리 우리와 별 이해 관계가 없는 미국인 학자가 쓴 <현대 일본을 찾아서> 라는 책이 훨씬 더 객관적이고 실제적으로 일본 사무라이의 모습을 전해 준다는 생각이 든다.
곧 미국 학자가 쓴 유교 문화에 대해 읽어 볼 생각이라 이 책과 비교하면 재밌을 것 같다.
재일 사학자 강재언씨가 쓴 <선비의 나라 한국 유학 2천년>에서는 유교를 상당히 부정적으로 봤는데 이 책에서는 굉장히 긍정적인 쪽으로 바라본다.
관점의 차이가 결과 해석을 얼마나 다르게 할 수 있는지 가늠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일본 무사도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니토베 이나조가 쓴 <무사도>를 읽은 후 부터다.
사무라이는 그저 칼들고 싸우는 무식한 칼잡이들이라고 생각했는데 서양의 기사처럼 기사도 정신을 가진 일종의 교양인이라는 느낌을 가졌다.
더군다나 가장 끔찍하게 생각했던 할복마저도 배꼽이 몸의 정기가 모이는 정중앙이라는 관념 때문에 가장 신성한 곳을 칼로 자른다는 해석이 뭔가 숭고하게 들렸다.
또 탐 크루즈가 출연한 <라스트 사무라이>를 보면 무너져 가는 전통 왕조의 존왕양이 사상을 지키기 위해 신식 대포 앞에서 허망하게 스러져 가는 사무라이들의 모습이, 신념을 위해 죽어가는 비장한 영웅처럼 느껴져 사무라이에 대한 인식이 완전히 바뀌게 됐다.
이 책의 저자 호사카 유지 씨의 주장에 따르면 니토베 이나조가 정의한 무사도란 바로 조선의 선비 정신이라는 것이다.
원래 일본의 사무라이들은 무식해서 최고 통지자인 도요토미 히데요시마저 한자를 몰랐다고 한다.
일본 문화 수준이 이 정도였으니 선조나 조선 관료들 입장에서는 감히 조선을 침범하고 그것도 모자라 명나라까지 쳐들어 가겠다는 도요토미의 장담이 현실적으로 들리지 않았을 것 같다.
하여튼 이런 일본이 문화적으로 성숙한 계기가 바로 임진왜란이었고 이 때 이황이나 이이, 성혼의 저작들이 많이 건너갔고 포로로 끌려간 강항이 후지와라 세이가에게 성리학을 전파함으로써 비로소 막부 정권이 유학을 관학으로 숭상했다는 것이다.
에도 막부 270년의 평화가 바로 이 조선의 성리학 전파 때문이라고 평가한다.
조선의 성리학이 에도 막부나 일본의 학풍에 어떤 영향을 얼마나 미쳤는지는 다른 책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봐야 할 것 같다.
처음에는 지나치게 한국 위주로 서술한 부분이 객관성을 잃는 것 같아 불편했지만 뒤로 갈수록 일본 역사 이야기가 흥미진진해서 퍽 재밌게 읽었다.
특히 막부란 도대체 뭔가, 막부의 역사는 어떻게 됐나, 임나일본부설은 왜 나와게 됐나, 그 배경은 무엇인가 등등 평소 궁금하게 생각했던 부분들이 한 번에 쭉 풀리게 돼서 기쁘다.
일본 관련 서적은 그 어려운 이름 때문에 쉽게 와 닿지가 않았는데 자꾸 접하다 보니 조금씩 익숙해지고 일본 역사도 흥미롭게 다가온다.
에도 막부 형성부터 20세기 일본의 경제성장까지를 다룬 명작 <현대 일본을 찾아서>를 읽은 후부터 일본 역사에 관심이 생겼는데 그 이전 시대, 일본 고대사와 중세사에 대해 알아 보고 싶다.
저자의 표현대로 과거에는 화이사상 때문에 중국을 숭앙하고 일본을 무시했는데 마찬가지로 지금은 미국이나 서양을 숭배하고 대신 일본이나 기타 다른 문화들을 역시 한 수 아래로 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선진 문화에 대한 욕구나 모방 심리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일이지만, 그것이 지나쳐 다른 문화에 대한 경시 풍조로 이어진다면 경계해야 마땅한 일이다.
일본의 저력과 우수성을 인정하지 못하는 것은 (특히 문화적 측면에 있어서) 어쩌면 저자의 말마따나 과거의 화이사상 때문인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