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발견
김용만 지음 / 바다출판사 / 1998년 8월
평점 :
절판


오래 전부터 읽고 싶던 책인데 드디어 읽게 됐다.
먼저 읽은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어디로 갔을까>에 비하면 역사서로서는 훨씬 내용도 많고 재밌게 읽었다.
처음 문명의 시작 부분만 좀 지루했을 뿐 고구려의 역사가 나오는 부분부터는 무척 재밌게 읽었다.
고구려에 대해 맘먹고 책 한 권 쓰기로 결심한 것 같다.
일본서기까지 인용해 많은 자료를 성실하게 모은 점이 돋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의견에 동조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
내가 보기에 저자는 고구려라는 나라에 대한 애정이 지나쳐 명백하게 기록된 내용마저 자의적으로 해석한 실수를 자주 범한다.
역사는 당위성을 위해 존재하는 학문이 아니고, 다수가 주장한다거나 옳다고 해서 그렇게 되는 건 아니다.
고구려거 후손들의 자부심을 세워주기 위해 있던 나라도 아니니까.

먼저 광개토대왕비문의 훼손 문제.
일본 육군 장교가 탁본하면서 자구를 훼손시켰다는 음모론은 이성시의 책에 보면 명백하게 잘못임이 밝혀진다.
일본인이 탁본을 뜨기 전부터 이미 중국인들에 의한 탁본이 존재했던 것이다.
이성시의 책이 먼저 나온 걸로 알고 있는데 왜 저자는 그 부분에 대해 고의적인 훼손을 계속 주장하는지 모르겠다.
또 광개토대왕이 후연을 멸망시켰다는 주장은 비문에도 명백하게 나와 있지 않을 뿐더러 다른 책을 보면, 후연은 전진에 의해 망한다.
또 북연의 왕이 단지 고씨라는 이유만으로 고구려의 속국이었다는 식의 확대해석은 곤란하다.
심지어 장수왕이 죽을 때 북위의 황제가 애도를 표했다는 이유로 북위가 고구려에게 조공을 바쳤다는 증거라니, 논리의 비약이 너무 심하다.
송이 장수왕을 영주와 평주의 자사라고 칭했다 하여 북경 인근까지 고구려의 영토였을 수 있다는 해석은 자칫하면 환단고기 신봉자들처럼 야사류로 흐를 위험마저 보인다.
왜 저자는 명백한 역사서의 기록을 자꾸 숨은 뜻이 있다면서 거꾸로 해석하려고 하는 걸까?
고구려가 자체적인 기록을 남기지 못했기 때문에 중국적 시각에서 역사를 볼 수 밖에 없음은 안타까운 일이나, 그렇다면 거기에 필적하는 유물이나 고고학적 증거를 들어서 반론을 펴야지 자꾸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이런 식으로 상황 논리만 들어대는 건 역사학자의 바람직한 태도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좋은 점은 고구려의 역사에 대해 기본적인 체계를 잡을 수 있도록 당대의 사건들을 체계적으로 잡아준다는 점이다.
작은 에피소드들도 꼼꼼하게 기록해서 고구려 역사를 재밌는 이야기로 만든다.
덕분에 고구려라는 나라가 고대사 속에 묻힌 죽은 역사가 아니라 조선 못지 않게 눈에 잡히는 나라가 됐다.
이 책을 읽고 드라마 <주몽>을 보면 더 재밌을 것 같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수아 2008-12-20 16: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님이 쓰신 리뷰에 대해 이의를 제기합니다. 후연은 전진에게 망하지 않았습니다. 전진에게 망한 나라는 '전연'이지요. 영락 17년 조, 즉 고구려의 발견에서 후연 멸망 기사라고 해석한 부분은 글자가 알아볼 수 없는 것이 많아서 무슨 일을 기록한 것인지 제대로 알 수가 없습니다. 즉 님이 말씀하신대로 후연이라는 글자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그 기사가 후연 멸망과 관련된 기사가 아니라고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marine 2008-12-22 10: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여기에 대해 자세한 답변을 다는 것 보다는, 이성시의 책을 직접 읽어 보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