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문명과 지식의 진화사 - 파피루스에서 e-북, 그리고 그 이후
니콜 하워드 지음, 송대범 옮김 / 플래닛미디어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책 자체에 대한 얘기보다는, 주로 인쇄 기술의 발전에 대해 쓰고 있다.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이해가 떨어지는 나 같은 경우, 흥미가 덜하기 때문에 썩 재밌게 읽지는 못했다.
내가 기대한 내용은 인쇄 기술의 발전 과정보다는 책 자체의 내용, 즉 출판업의 동향 변화, 독자층의 수요 변화 이런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이라서 아쉽다.
하여튼 구텐베르크가 금속 활자를 발명한 이후 책은 지식의 저장고이자 전달 매체로써 엄청난 업적을 수행해 오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루터의 종교개혁도 활자가 아니었다면 어쩌면 불가능했을지도 혹은 훨씬 더 뒤늦게 찾아왔을지도 모른다.
인쇄술로 인해 지식과 주장의 전파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고 우리는 보다 극적인 혁명의 시대에 들어서게 된 것 같다.

마지막에 현대 출판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하면서 e-book 에 대해 말하는데 사실 이 부분은 아직은 모호하지 않나 싶다.
금방이라도 종이책이 사라질 거라 한창 떠들어댔지만 여전히 전자책은 낯설고 오히려 북디자인의 발전으로 화려하고 매혹적인 종이책들이 서점과 독자의 서재를 장악하고 있다.
아직은 전자출판이 승기를 잡지 못한 것 같다.
무엇보다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점, 시각적 효과가 부족하다는 점이 걸림돌일 것 같다.
북 리더 같은 하드웨어가 개발되고 있다는데 직접 손으로 책장을 넘기는 맛을 따라가기에는 아직은 무리 같다.
하여튼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존재해온 종이책 개념을 전자책으로 대체할 수 있다면 그것은 진정한 출판 혁명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