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들은 왜 무엇이든 믿고 싶어할까?
마르틴 우르반 지음, 김현정 옮김 / 도솔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믿음에 관한 인간의 본능적 욕구를 상세히 설명한 책.
왜 사람들은 무엇이든 믿고 싶어할까?
종교나 편견, 미신, 신념 등에 대한 심리적, 문화적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의 시대에도 여전히 종교가 세를 잃지 않는 이유는 죽음에 대한 공포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근본적인 이유도 있지만, 종교가 주는 확실함, 안정감, 교인들끼리의 연대감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근본주의자일수록 의심없이 믿기 때문에 회의론자들에 비해 편안한 심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의심많은 도마가 무조건 믿는 사람들 보다 더 복잡하고 피곤할 것임은 분명하다.
칼뱅도 자기가 구원받았다고 믿고 살라고 하지 않았던가?
예정설이 대체 뭔지 이제서야 감이 잡힌다.
인간의 뇌는 단편적인 사실들을 종합해 하나의 큰 그림을 그려 형태를 완성한다.
상상력이라는 훌륭한 기능 때문에 부분을 전체로 종합할 수 있다.
그러나 정확히 알지 못하면서 대충 형상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편견이나 오류가 많을 수 밖에 없다.
우리가 끊임없이 회의해야 하고 무조건 믿어서는 안 되는 이유가 그 때문이다.
사람이 결정을 내릴 때도 정확한 사실에 근거해 합리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다.
감정과 연관되어 어떤 느낌에 의존해 거의 도박에 가까운 선택을 한다.
운이 좋은 사람이란 이런 주관적인 느낌을 비교적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경우일 것이다.
저자는 무의식이 인간을 지배한다는 프로이트의 학설을 신봉한다.
인간의 비합리적이고 충동적인 열정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