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본성(들) - 인간의 본성을 만드는 것은 유전자인가, 문화인가?
폴 R. 에얼릭 지음, 전방욱 옮김 / 이마고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600페이지 남짓 되는 꽤 두꺼운 책이지만, 내용은 비교적 평이하다.
지난 번에 읽은 비슷한 스타일의 <호모 쿠아에렌스>보다 더 쉽게 읽힌다.

본성과 양육의 논쟁은, 어쩌면 논쟁 자체가 무의미한지도 모르겠다.
인간은 빈 서판으로 태어난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유전자가 인간의 모든 행동 양식을 일일이 지정하는 것도 아니다.
저자의 말마따나 영구배선 되는 것이 아니라는 얘기다.
이런 쓸데없는 논쟁은, 어설픈 인문학자들이나 대중 저술가들이 문제를 위한 문제, 식으로 야기시킨다는 생각이 든다.
유전자는 환경의 영향에 따라 다양한 표현형질을 발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어떤 성격 어떤 기질을 갖느냐는 각자의 처한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어렸을 때 언어 환경에 노출되지 않으면 언어 습득이 불가능해진다.
지적 자극을 많이 받으면 표현될 수 있는 재능도 늘어날 것이다.
물론 유전자라는 한계는 있겠지만 말이다.
그러고 보면 영재교육도 나름대로의 의미가 있는 것 같다.

인종이 얼마나 잘못된 분류인지, 차별을 위한 이데올로기에 불과한지 새삼 느꼈다.
피부색을 기준으로 종을 나눈다는 게 과연 타당한 일일까?
차별을 정당화 시키기 위한 유사과학에 불과하다.
다름을 억압과 증오의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편협한 행동에 불과하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 대선 후보가 된 오바마를 들겠다.
케냐인 아버지에게서 태어났지만 미국 문화에서 자라나 당당히 대선 후보까지 되지 않았는가?
호모 사피엔스라는 종의 동질성을 생각해 본다면 민족이나 피부색으로 나누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어떤 범주로도 단일하게 묶일 수 있는 집단은 없다고 생각한다.

의식이나 윤리가 뇌의 진화라는 생각은 이제 주류 의견이 된 것 같다.
여전히 정신의 특별함과 영혼의 존재를 믿는 사람들에게는, 인간의 가치를 깍아 먹는 소리겠지만 결국 자아나 의식, 윤리, 양심 이런 추상적인 개념은 뇌의 진화 덕분인 것 같다.
그러니 몸이 죽고 나면 영혼은 저 세상으로 간다는 생각도 그저 망상에 불과할 뿐.
과학 서적을 읽으면 읽을수록 교회나 신앙에 대한 회의가 든다.
죽음의 공포를 이기지 못하기 때문에 하나님, 혹은 절대자의 존재를 부정할 수 없지만 그것이 정말 우리가 믿고 있는 바로 그 교리, 그 신조인지는 정말 모르겠다.
죽으면 그저 사라질 뿐이고, 천국과 지옥, 영혼불멸 같은 것은 우리의 머릿속에나 있는 게 아닐까?

꽤 분량이 나가는 책이라 쉽게 읽지는 못했다.
당직 서고 나서 유난히 피곤했던 차라 100% 흡수하지는 못한 것 같다.
그렇지만 비교적 재밌게 읽은 책이라 추천할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