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한걸음이 1년 후 나를 바꾼다
로버트 마우어 지음, 김우열 옮김 / 더난출판사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One small step,  참 적절하고 좋은 전략이다.
자기변화란 작심3일이라는 단어가 말해 주듯 참 어렵고 힘든 숙제인데 변화에 저항하고자 하는 우리의 방어 시스템을 어떻게 무력화 시킬 것인지에 대해 설명한다.
앤서니 라빈스 같은 자기계발 전문가들의 과장이나 지나친 확신이 없어서 읽기가 편했다.
그동안의 관습에 익숙해진 우리의 몸과 머리는 가능하면 기존의 습관대로 하려고 애쓴다.
또 좋은 습관이란 원래 오래 지속시키기 힘든 법이다.
운동 중독자들도 있다지만 사실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게 게으르고자 하는 본성보다 강하다면 왜 다이어트 산업이 저렇게 열풍이며, 날씬한 사람들은 사회에서 특권을 누리겠는가?
퇴근 후에는 쇼파에 걸터앉아 포테이토를 먹으면서 스포츠 중계나 드라마를 보면서 쉬는 게, 헬스 클럽 가서 1시간씩 뛰는 것보다 훨씬 더 우리 본성에 걸맞는다.
이걸 바꾸려고 하니 당연히 저항감이 생기는 것이다.

저자는 이런 저항에 대한 해결책으로 아주 작은 것부터 시작하라고 조언한다.
1시간씩 뛸 게 아니라 단지 런닝머신에 발만 딛어라.
오늘은 1분, 내일은 2분, 이런 식으로 절대 실패할 수 없을 정도로 사소한 변화부터 시작하라는 것이다.
시작이 반이다, 라는 말이 여기에 딱 들어 맞는다.
일단 시작을 하면 관성의 힘으로 그 쪽으로 방향을 틀게 마련이다.
거창한 변화는 당연히 몸의 저항을 일으킨다.
모든 자기계발서들이 다 마찬가지인데 지나친 변화 보다는 조금씩 지속적으로 계속 하는 게 성공의 열쇠라고 한다.
중요한 것은 낙숫물에 돌 깨진다는 말처럼 지속성이다.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저자는 갑자기 변하는 것을 혁신이라고 표현했다.
갑작스러운 혁명은 성공했을 때는 이득이 엄청나지만 실패했을 경우 큰 상처를 입게 된다.
그러므로 가능하면 실패의 위험이 적은 작은 변화부터 시작하자.
작은 성공들이 쌓이면 자존감이 높아지고 자신감이 생긴다.

책 분량도 작고 내용도 무리없이 실천해 볼만한 내용들이라 유익했다.
다만 제목을 좀 더 인상적으로 지었다면 홍보가 잘 됐을텐데 그 점이 아쉽다.
차라리 여기 나온 구절을 그대로 인용해 "One small step" 이라고 했더라면 더 주목을 끌지 않았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