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 심리학 - 진정한 행복 만들기
마틴 셀리그만 지음, 김인자 옮김 / 물푸레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칙센트미하이의 <Flow>가 더 나은 것 같다.
긍정심리학의 원조라고 하는데, 자기계발서와 비슷한 느낌이 든다.
칙센트미하이 교수의 책은 좀 더 학문적이고 원칙적이다.
<Flow> 만큼의 감동이 없다.
새겨 들을 만한 문구는, 대표강점을 살리라는 충고였다.
대략 15가지 정도로 나누었는데 나 같은 경우는 지적 호기심이 충족됐을 때 가장 기쁘고 행복감을 느낀다.
그래서 전날 당직을 서고 피곤한 몸을 이끌고 퇴근 후 도서관을 찾았을 때 책 내용이 마음에 꽂히면 뭔가 가슴에서 꽉 차 오르는 충만감을 느끼게 된다.
나 같은 경우는 이런 지적 만족감을 추구해야 행복하게 살 수 있다.
특기할 만한 사항은, 저자가 일시적인 쾌락과 지속적인 행복을 구분했다는 사실이다.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 친구들과 수다를 떨 때, 재밌는 영화를 봤을 때 등 순간적으로 즐겁고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은 쾌락의 감정이다.
반면 자기절제나 인내심, 용기, 사랑 등은 지속적인 행복감으로 금방 질리는 쾌락과 달리 꾸준하게 유지되고 감정을 고양시킨다.
확실히 쾌락은 쉽게 사라진다.
크리스피크림의 오리지널 글레이드를 한 개 먹었을 때는 그 달콤함이 입 안에 퍼지면서 황홀하기까지 한데 두 개째 들어가면 질리기 시작하면서 세 개째 먹으면 토할 것 같은 기분이 드는 것과 비슷하다.
좋은 영화를 봤을 때도 그렇다.
영화가 막 끝났을 때는 온 몸이 감동의 물결로 전율하는데, 몇 시간 지나면 금방 잊혀지고 다시 봤을 때는 시들한 경우가 많다.
반면 직장에서 인정받는 위치에 올라 부서원들을 지휘한다거나 사랑하는 사람과 가정을 이룬다거나 어떤 작업을 끈기있게 수행해 냈을 때 드는 기분은 보상도 확실하고 영속적일 뿐더러 그 후의 인생에 큰 자신감을 불러 넣어주고 근본적으로 내 태도와 사고방식을 긍정적인 쪽으로 변화시킨다.
작은 성공들이 모여, 즉 훌륭하게 해냈다는 성공의 기분들이 모여 점점 자신감 있는 사람으로 변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표강점들을 키워 지속적인 행복을 찾도록 노력하자.

아이 양육에 있어 무엇보다 칭찬이 중요한 방식임을 다시 한 번 느낀다.
체벌은 이제 구닥다리 양육방식이 된 것 같다.
오히려 아이와 거래하라는 현실적인 충고가 마음에 든다.
그렇지만 자주 써먹어서는 안 되고 보상과 동기가 확실할 때 극약처방으로 써야 한다.
매일 밥을 먹이기 위해 장난감을 사주는 것 등과 같은 일상적인 일에 써서는 안 된다.
나이가 나이인 만큼 이런 양육에 관한 부분도 관심이 많이 간다.

지하철에서 대충 읽은 책이라 깊이있게 보지는 못했지만 생각해 볼만한 부분이 있다.
내 생활에 적용시켜 볼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