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해철의 쾌변독설
신해철.지승호 지음 / 부엔리브로 / 2008년 3월
평점 :
신해철을 무지하게 좋아했던 시절이 있었다.
대학교 1,2 학년 때까지는 새 앨범이 나오면 줄서서 음반 가게 앞에서 기다릴 정도로 열렬한 팬이었다.
뭔가 때려 부수고 소리를 질러대는 시원한 맛이 있으면서도 왠지 철학적으로 느껴지는 가사 등이 마음에 들었다.
신해철이 솔로로 활동할 때는 내가 어리기도 했고 특별한 관심이 없었는데, 넥스트를 결성하면서부터 팬이 됐던 것 같다.
특히 재수 시절에 들었던 FM 음악도시는, 일종의 청량 음료 같은 역할을 해서 내 소설 속의 주인공으로 등장시킬 정도였다.
앨범을 사면 속지의 땡스 투에 신해철 개인 후원회인 관제탑이 꼭 들어 있었는데, 나도 커서 돈 벌면 이 후원회에 가입해야겠다고 굳게 다짐을 하곤 했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그의 음악은 내 관심 밖으로 멀어졌고 지금 발표하는 노래는 영 마음에 들지 않는다.
넥스트 역시 옛날 같은 대중성을 획득하지 못한 걸 보면, 스타일이 많이 바뀌었다는 생각도 든다.
밴드의 수준이 높아진 건지, 아니면 내 수준이 하락한 건지...
책에서 신해철이 한 말이기도 하지만, 나 역시 <라젠카> 음반이 제일 좋았었던 것 같다.
만화 영화의 주제곡이라고 하기엔 너무나 웅장하고 박력있는 사운드가 인상적이었고 무엇보다 유치하지 않은 가사가 좋았다.
비록 만화 영화는 매우 지루했고 막상 주제곡과 영상 자체는 크게 어울리지 않았지만 말이다.
<정글 스토리>도 무척 좋았다.
오토바이를 타고 찍은 CD 재킷도 멋있었고, <백수가> 나 <70년대에 바침> 같은 노래를 좋아했다.
오히려 <날아라 병아리> 같은 건 요즘 들으면 좀 유치하다는 생각이 든다.
여하튼...
지금은 신해철 노래에 별 관심이 없고, 그래서인지 그가 주장하는 말도 특별한 관심이 없다.
인터뷰어인 지승호는, <무릎팍 도사>에서 이승철이 신해철에게 했던 말이 꽤 기분나빴다고 하지만 난 그 말이야 말로 정곡을 찌르는 말 같다.
조용필이 위대한 것도 다른 무엇도 아닌 노래로 승부하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신해철 역시 음악으로 이름을 날리는 게 가장 현명한 태도일 것 같다.
그래서인지 책을 읽는 내내 좀 불편할 때가 많았다.
차라리 그의 음악 철학, 혹은 창작 과정, 이런 거 가지고 얘기하면 더 흥미로웠을텐데 자꾸 사회적인 이슈를 거론하니, 왠지 옆길로 샌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가수의 사회 참여는 각자의 생각에 따라 선택하면 될 문제니, 이러니 저러니 하고 싶지 않지만, 하여튼 나는 이렇게 한 권의 책으로 묶어 낼 만큼 대단한 사회 운동가인가 하는 것에는 의심이 간다.
뭐, 자기 블로그에나 올릴 만한 형편없는 글도 책으로 묶어내는 판이니 이 정도면 점잖다고도 할 수 있겠으나...
국가의 간섭이 싫고,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며 특히 소수자의 권리 옹호라는 점에서는 나와 생각이 비슷하긴 하다.
탈권위적이고 비가부장적인 태도, 이런 건 마음에 든다.
이를테면 간통죄 폐지라든가, 체벌 금지, 대마초 합법화 같은 것들 말이다.
물론 이런 이슈들은 젊은 사람이라면 대부분 찬성할 것이다.
그래서인지 그냥 개인의 견해를 표명하는 정도라면 음, 괜찮은 사람이네, 하고 넘어갈텐데, 자꾸 주변에서 사회 운동가로 대접하는 분위기라 영 불편하고 껄끄럽다.
명실상부 하지 못한 느낌이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