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50장의 명화로 읽는 그림의 역사
로이 볼턴 지음, 강주헌 옮김 / 도서출판성우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서점에서 우연히 발견한 책인데 생각보다 재밌었다.
전문가가 쓴 책이 아닌 것 같아 큰 기대는 안 했는데 의외로 유익했다.
특히 150장의 그림이 아닌, 150명의 화가에 포커스를 맞췄다는 점이 유익했다.
의외로 이름이 알려진 화가들이 아주 많지 않다는 걸 알게 됐다.
왜냐면 내가 알고 있는 거의 모든 화가들이 150명 안에 총망라 됐기 때문이다.
흐름도 잘 정리됐고 특히 평소에 잘 몰랐던 현대 화가들을 많이 알게 됐다.
물론 요즘의 그림들이 썩 마음에 드는 건 아니지만 하여튼 풍부한 상상력 하나는 끝내준다.
그림이 더이상 대상을 재현하는 모방이 아님을 현대 화가들에게서 느낀다.
화가의 철학이 중요하고, 관념이나 감정을 표현하는 도구로서 작동한다.
이제 화가들은 기술자에서 예술의 창조자, 철학자로 변신한 것이다.
데이빗 호크니는, "명화의 비밀" 이라는 책의 저자로 만났다.
표지 사진을 보니 꽤 나이든 아저씨였는데 이 책에서 영국 팝아트의 신세대 기수로 소개되니, 세월의 흐름을 느낄 수 있었다.
카메라 옵스큐라를 통해 대상을 모사한 대가들의 비밀을 파헤친 이 화가는, 뜻밖에도 동성애자였고 그가 그림 수영장 그림은 무척이나 화사하고 상큼하다.
같은 팝아트여도 앤디 워홀이나 뒤샹 같은 이들의 작품은 도무지 감동이라는 게 없는데 (특히 뒤샹은 정말 짜증난다) 호크니처럼 화사한 색을 사용한 그림들은 기분을 고양시키고 뭔가 신선하고 새로운 느낌을 준다.
그렇게도 헷갈리던 카날레토와 베로네세, 조르조네를 이제는 분명히 구분할 수 있다.
운하의 도시 베네치아 그림이 무척 마음에 들었는데 대체 누군지 항상 가물가물 했다.
아마 카날레토라는 화가가 많이 알려지지 않아서 그랬던 것 같다.
이탈리아로의 그랜드 투어가 유행하던 18세기에 귀족들에게 이탈리아에 다녀왔다는 이른바 증명서 같은 의미로 베네치아 풍경화를 팔았던 이 화가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전쟁으로 여행객이 줄어들자 과감하게 결단을 내리고 영국으로 이주한다.
영국에서 그린 다리 풍경도 무척 마음에 든다.
가로로 넓은 시원한 구조라 컴퓨터 배경 화면에 깔면 무척 예쁘다.
실제로 꼭 보고 싶은 그림 중 하나다.
나는 이런 대작들이 마음에 든다.
같은 풍경화여도 시골 풍경 보다는 이런 건축물이 등장하는 도시 풍경이 더 마음에 든다.
베로네세와 조르조네 역시 우리에게 익숙한 화가가 아니라서 이들이 그린 그림이 선뜻 안 떠올랐는데 이번에 확실히 구분하게 됐다.
이 책의 독특한 점은, 개인 소장 작품들을 많이 소개했다는 점이다.
특히 마티스의 "노랑의 조화" 라는 그림은 야수파라는 명성에 걸맞게 정말 아름다운 색상이 돋보인다.
덜 알려진 그림들을 많이 보게 돼서 기쁘다.
유명 화가들도 가능하면 유명세를 덜 탄 작품들을 소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런 훌륭한 그림을 소장하고 있는 사람은 대체 누굴까?
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가셰 박사의 초상을 사간 일본의 사업가는 자기가 죽으면 관에 넣어달라고 했다는데 이런 훌륭한 그림이 사라진다는 건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확실히 고흐의 그림은 사람의 마음을 뒤흔드는 힘이 있다.
요즘에 카날레토처럼 도시 풍경을 그리면 달력 화가 취급을 받을 것이다.
현대 화가들의 상상력이나 표현 양식은 정말 놀랍다.
데생이나 드로잉 등이 여전히 화가의 기본 실력임은 말할 것도 없지만, 하여튼 독창적이고 기발하다나는 점에서 현대 화가들의 위대함이 있는 듯 하다.
도판도 훌륭하고 책 내용도 좋았다.
화가와 그림을 나눠서 설명한 점도 마음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