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히스토리카 세계사 1 - 선사시대와 최초의 문명
J. M. 로버츠 지음, 조윤정 옮김 / 이끌리오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감명깊게 본 "트로이" 의 시대적 배경이 바로 미케아 문명, 그러니까 그리스의 도시 국가가 시작되기 전이라는 사실을 이번에 알았다.
그러고 보면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이라는 게 얼마나 피상적인지...
호메로스가 일리아드와 오딧세이를 구술한 것은 기원전 8세기로, 트로이가 멸망하고 나서도 몇 백년이 지나서였다.
신화 속에 등장하는 아가멤논이 실제로 그리스 본토의 지배자였다고 한다.
난 단지 도시 국가들의 대표격인 줄 알았지
하여튼 슐리만의 발견으로 신화 속의 트로이 전쟁이 역사로 부활했다는 점은, 생각할수록 가슴 떨리고 낭만적인 발굴 사건이 아닐 수 없다.
미노스 왕과 미노타우르스 소 이야기로 알려진 크노소스 궁의 미노아 문명은, 크레타 섬의 청동기 시대에 존재했다.
지금으로부터 무려 2000년 전이라고 한다.
단군 왕검이 아사달에 도읍을 세운 때와 비슷한 것 같은데 미노아 문명은 그 자취를 찬란하게 남기고 있는 반면, 단군 왕검의 유적들은 대체 어디로 간 걸까?
기회가 되면 크레타 섬을 가보고 싶다
책에서 보는 것과 실제로 역사적 자취를 눈으로 보는 것은 꽤 다른 경험일 것 같다
특히 크노로스 궁전의 돌고래 프레스코 벽화가 인상적이었다.
학자들은 지진에 의해 크레타 문명이 멸망했다고 보는데, 그러고 보면 자연재해나 기후변화 등은 인류 역사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것 같다
알파벳 문자로 유명한 페니키아인들의 시조를, 크레타 문명이나 트로이 등의 붕괴로 흩어진 난민들로 잡는다는 점이 신기하다.
하긴 어느 민족이든 처음은 있는 법이니, 출발점이 분명히 존재할 것이다.
난민들이 모여 배를 만들고 교역을 하면서 살아간다, 멋진 추리가 아닐 수 없다.
2권에서 그리스 문명을 본격적으로 다룰 모양이다.
기대된다.
전반적으로 사진이 풍부하고 서술이 간략한 게 아쉽긴 하지만 전체를 조명한다는 점에서 그런대로 괜찮은 점수를 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