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의 아버지 - 21세기 인간의 진화론
칩 월터 지음, 이시은 옮김 / 어마마마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새해들어 좋은 책들을 많이 읽고 있어 정말 기쁘다.
좋은 책이 주는 정서적 만족감은 굉장히 큰데 비해 금전적인 노력은 하나도 들어가지 않고 오직 약간의 집중력과 시간만 있으면 되는 셈이니, 독서는 마치 공짜로 얻는 삶의 큰 기쁨 같다,
인간의 기원이나 진화에 대한 문제는 흥미로우면서도 모호한 느낌이라 확실하게 정리가 잘 안 되는 분야다.
워낙 발굴되는 화석도 적고 계속 새로운 증거들이 추가되다 보니 역사 분야처럼 고정되지 않는 것 같다.
이 책에 따르면 인간과 침팬지는 700만 년 전에 분기되어 그들과 함께 살던 열대 숲을 떠나 확 트인 초원으로 나가면서 서서 걷게 되고 무리를 지어 사냥하고 도구와 불을 사용하며 언어까지 발전시키는 뇌의 진화를 겪게 됐다.
자연환경 변화에 잘 맞춰 적응해 갔던 셈이다.
어려서 읽었던 책에서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로부터 시작해 (이게 그 유명한 루시였던 모양이다) 호모 하빌리스, 호모 에렉투스, 호모 사피엔스로 단선 진화했다는데, 요즘에는 심지어 호모 하빌리스와 호모 에렉투스가 같이 공존했고 실제적인 조상 관계도 아니라고 한다.
하긴 우리 인류에게 멸종된 네안테르탈인의 DNA가 5%까지 발견된다고 하니 책에 나온 상상처럼 히말라야의 거대한 설인은 마치 노아의 홍수 전설처럼 우리 조상들이 오래 간직한 사촌들에 대한 기억일까?
인류의 기원도 흥미롭지만 무엇보다 인간의 자아에 관한 해설이 아주 흥미로웠다.
인간과 동물을 가르는 가장 결정적인 차이가 바로 이 자의식일 것 같은데, 앞서 읽은 <인간은 왜 잔인해지는가>에서도 밝힌 바대로, 동물은 현재만을 의식하기 때문에 생존 이외의 고민이 없는 반면, 인간은 앞으로 일어날 일들을 고민하기 때문에 마음의 평화를 얻기 힘들다고 했다.
이 책에서 저자는 마음 속에서 끊임없이 대화하고 있는 "나" 즉 두뇌가 만들어낸 일종의 환영인 "나"를 자아라고 표현했다.
저자는 인간을 "상상하는" 생존 기계라고 표현할 정도로 인간의 두뇌가 만들어낸 자의식, 창의력이 언어 능력과 합해져 거대한 사회를 이루고 문화를 창조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보통 인류학에 관한 책은 복잡하고 어려운 반면 이 책은 참 쉽게 잘 쓰여졌다 싶었는데 저자가 학자가 아닌 저술가여서 대중의 눈높이를 잘 맞춘 듯하다.
인간의 기원과 정신성에 관해 알게 된 정말 유익한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