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단한 독서 - 내 삶의 기초를 다지는 근본적 읽기의 기술
에밀 파게 지음, 최성웅 옮김 / 유유 / 2014년 10월
평점 :
제목이 말할 수 없이 마음에 든다.
그냥 독서도 아니고 "단단한" 독서라니.
정말 이런 독서를 하고 싶다.
치열하게 열심히 읽는, 푹 빠져드는 열정적인 독서를 하고 싶다.
솔직히 내용은 좀 어렵고 사변적인 게 많아 다 공감하지는 못했다.
19세기라는 시대차도 그렇고 무엇보다 프랑스 문학에 대해 전혀 모르니 책에 나오는 경구나 등장인물들이 인용되는 맥락을 이해하지 못했다.
저자가 1847년생이니 우리 식으로 하면 조선 철종 시대쯤 되는 인물이라 우리나라 책이어도 어렵긴 했을 것 같다.
저자가 말하는 두 가지 책읽기의 방식, 천천히 읽기와 다시 읽기, 결국은 같은 말인데 많이 공감했다.
한 권의 책을 제대로 읽기 위해서는 확실히 한 번 가지고는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글자만 쓱 훑어 보는 나같은 남독 스타일로는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기가 어려운 듯하다.
책을 읽고 나면 분명한 관점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막연하게 그런 것 같다는 흐릿한 인상만 보이는 기분이다.
독서의 적은 무엇인가?
책에 너무나도 분명히 나와 있다.
바로 인생 그 자체라고.
출세하려는 욕구, 경쟁, 크고 작은 분쟁들, 감정을 소모하는 여러 관계들, 무엇보다 먹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세상살이에 치일 수밖에 없으니 온전히 독서에 마음을 바칠 수가 없다.
그래서 천국은 거대한 도서관이라고 했을까?
죽어서야 비로소 책의 세계에 완전히 빠져들 수 있다는 뜻 같다.
내가 평소에 꿈꾸던 은퇴 생활자가 나온다.
사무실을 정리하고 파리 국립 도서관에 매일 출근을 하는 사람이다.
그는 파리가 지적, 예술적 삶을 가장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가난한 자들의 도시라고 했다.
서울 집값이 전세계적으로도 비싸지만 그럼에도 대도시는 문화적 삶을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최적의 거주지라는 생각이 든다.
나도 은퇴하면 국립중앙도서관에 날마다 가서 일하듯이 여덟 시간씩 책을 읽는 게 꿈이다.
그런 날이 올까?
나처럼 책을 좋아하는 아빠가 언젠가부터 눈이 피곤해 긴 책을 못 읽고 대신 짧은 시를 읽는 걸 보고 충격을 받았다.
나이 들고 은퇴하면 책을 마음껏 볼 수 있을 거라 기대하지만 사실은 신체도 늙어서 노년이 반드시 책읽기에 적합한 시기가 아닐지도 모른다.
그래서 40대인 지금부터라도 정말로 열심히 원없이 읽어 보려고 한다.
나이 들어서 눈이 침침해 책읽기가 힘들어지면 너무 억울할 것 같다.
읽기는 감미롭고 거듭 읽기는 더더 감미롭다는 저자의 표현에 깊이 공감이 간다.
좋은 책을 곱씹어 읽는 것은 얼마나 행복한 일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