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인간인가? - 인류가 밝혀낸 인간에 대한 모든 착각과 진실
마이클 S. 가자니가 지음, 박인균 옮김, 정재승 감수 / 추수밭(청림출판)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미학에 관련된 책에서 많이 인용된 걸 보고 흥미가 생겨 읽게 됐다. 

500 페이지에 달하는 책이고 내용도 어려워 꽤 힘들게 읽었고 100% 다 이해하지는 못했다.

인간과 동물의 차이가 무엇인가를 밝히는 전반부는 직관적인 내용이 많아 흥미롭게 읽은 반면, 생물학적 설명이 주를 이루는 후반부는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대충 넘길 수밖에 없어 아쉽다.

생물학을 전공했는데도 왜 이렇게 이해 수준이 떨어지는 것인가, 자괴감이 드는 순간이다.

인간과 다른 종의 궁극적인 차이는 높은 수준의 사회성에 있다고 하겠다.

우리의 친척인 침팬지나 기타 다른 종들도 사회적 무리를 이루기도 하지만, 인간처럼 고도의 사회적 조직을 이루는 경우는 전무하다.

이런 사회성에서 문화가 발생하고 오늘날의 문명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마음 이론이라는 것이 흥미롭다.

집단에 속하게 되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있어야 하는데 놀랍게도 이것은 인간의 고유한 특성이라고 한다.

즉 다른 동물들은 타인의 마음을 읽어내지 못한다는 것이다.

물론 정확하게 안다는 뜻은 아니다.

내가 이런 행동을 하면 저 사람은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이런 식으로 해야 한다, 이렇게 상대의 행동을 보고 그 의중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게 인간의 고유한 특성이라는 게 놀랍다.

당연히 누구나 다 되는 건 줄 알았다.

반려동물과 교감을 나누는 것은 인간의 감정을 투사하는 것에 불과하고 낮은 수준의 육체적 친밀감일 뿐이라는 것이다.

사냥을 하고 포식자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집단을 이루게 됐는데 집단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 즉 타인과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 애쓰는 과정에서 뇌의 크기가 커졌다는 이론도 흥미롭다.

우리의 뇌는 생각하기 위해 있다기 보다 타인과의 관계를 맺기 위해 커졌다는 것이다.

인간은 언제나 편을 가른다.

내집단과 외집단을 구분해 그 안에서 충성하고 리더를 추앙한다.

외집단에 대해서는 강한 공격성을 갖는다.

오늘날 정치적 편을 갈라 열심히 싸우는 것도 본성에 충실한 행동인 셈이다.

집단을 유지하기 위해 생겨난 도덕적 모듈은 선천적인 것이라고 설명한다.

나쁜 짓을 들켰을 때의 수치심, 죄책감 같은 감정이 자연스러운 본성이고 이런 것들을 바탕으로 도덕이 형성됐다는 것이다.

사이코패스는 이런 수치심과 죄책감이 결여된 사람인데 생물학적으로 뇌에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일종의 질병이라고 할 수 있겠다.

행동 결정에 감정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인상적이다.

사실 나는 감정 변화에 아주 취약한 사람이라 감정조절을 하는 것이 큰 딜레마인데, 원래 인간의 특성상 감정이 우선이라고 하니 약간 위로가 된다.

어떻게 감정을 관리할 것인가에 대해 좀더 깊이 생각해 봐야겠다.

너무나 많은 지식을 주는 책이라 한번에 이해하기 어려웠지만 2021년 마지막을 장식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훌륭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