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회문화의 원형 - 향토중국
페이샤오퉁 지음, 장영석 옮김 / 비봉출판사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2011년도에 발간된 책인데 독음도 달지 않은 한자어라니.

아무리 한자를 많이 써도 괄호 안에 독음은 달아주던데 정말 거의 다 한자어 그대로 씌여 있어 네이버 한자 사전 찾아가면서 읽느라 힘들었다.

아는 글자 같은데 바로 생각이 안 나서 더 답답했다.

그 점만 뺀다면 정말 흥미롭고 분석력이 뛰어난 책이라 행복한 독서 시간이었다.

저자의 전작인 <중국의 신사계급>과 연결되는 책이다.

간단히 말해 서구의 개인주의, 자본주의 사회와 중국의 향토사회 더 정확히는 가부장적이고 전체적의, 집단주의적 농본사회는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고찰이다.

나는 항상 왜 과거에는 잘 나갔던 동양이 근대화에 실패하고 서구가 주도하는 세상으로 바뀌었는지에 대해 확실한 답을 얻지 못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근본적으로 동양 사회가 어떻게 서구와 다른가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알게 된 기분이다.

서구도 처음에는 중국처럼 농본사회였을까?

어느 순간에 그들은 개인주의, 자본주의로 발달했고 동아시아 사회는 여전히 집단이 중시되는 정적인 향촌사회로 남아 있었던 것일까?

이 사회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유가의 인륜이라는 도덕규범이었고 이것은 신분에 따른 차등적 질서로 나타난다.

장유유서, 남존여비 등의 차등적 질서가 농사를 짓는 작은 마을의 안정을 유지했고 지난 책에서 설명했던 신사 계급, 즉 전현직 관리층이 국가와 마을 공동체의 교량 역할을 한 셈이다.

국가라는 거대한 범위 안에 속해 있으면서도 마을 공동체의 자치적인 조직이 굴러 갔던 것은 이 신사 계급이라는 마을 지도층이 있었던 덕분이기도 한데, 중요한 것은 서구와는 달리 이들이 국가에 대항하는 존재는 아니었다는 것이다.

오히려 조선시대 양반 계층처럼 국가에 의해 향촌 사회에서 특권을 인정받는 대신 (오히려 이들은 특권 유지를 위해 국가의 보호가 필수적이었다) 지역민들을 잘 통제하는 역할을 했다.

중국이나 한반도의 국가가 서양처럼 봉건제로 흩어지지 않고 오래 전부터 중앙집권화를 이룩했던 비결이 있었던 셈이다.

여지껏 읽었던 역사책과는 다른, 실제적인 현장 분석을 통한 저자의 역사적 식견이 참으로 탁월하고 너무나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