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하나의 조선 - 시대의 틈에서 ‘나’로 존재했던 52명의 여자들
이숙인 지음 / 한겨레출판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가 고풍스럽고 전통사회 여성이라는 주제에 잘 맞는 느낌이다.

책 자체는 솔직히 지루했다.

52명의 여성에 대한 이야기인데 신문 등에 연재한 내용인가 보다.

이런 칼럼 모음은 분량의 한계 때문인지 깊이가 얕고 중구난방 느낌이 드는 게 문제다.

처음부터 한 권의 책으로 기획한 게 아니다 보니 어쩔 수 없는 단점 같다.

더군다나 52명의 인물들이 등장하니 다채롭긴 하지만 간략하게 일생을 언급하고 넘어가는 식이라 깊이있는 분석이 아쉽다.

흔히 조선시대 여성이라고 하면 남존여비 혹은 축첩제도, 시집살이, 삼종지도 등 어두운 이미지만 생각나는데 사회 진출을 못했을 따름이지 사대부가 여성들은 남편의 동반자로서 존중받고 학문적 깊이도 갖추었다는 걸 알게 됐다.

조선 후기로 갈수록 사대부가 여성들도 성리학을 공부하여 문집을 남기는 경우도 생긴다.

성리학은 누구나 노력하면 성인이 될 수 있다고 했는데 요즘 의미의 만민평등은 아닐지라도 이론적으로는 많은 사람에게 열려 있는 개방적인 면도 있었던 듯하다.

여류시인이라고 하면 허난살헌이나 황진이 정도만 생각했는데 의외로 많은 여성들이 소개되어 반갑다.

미혼 여성은 사회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집안 남성들, 이를테면 아버지나 남자 형제들, 남편, 시동생 등의 도움을 받아 문집을 펴내고 그 시와 학문이 전해질 수 있었다.

널리 알려진대로 허균은 누이의 시를 중국에까지 전하는데 흥미로운 것은 처음에는 중국인들이 애호하다가 분위기가 바뀌어 표절 시비에 휘말렸다는 것이다.

시에도 표절이 있다니, 좀 놀랍다.

불행하게도 조선에서도 동생 허균이 역적으로 처단되자 평가가 박해졌으나 후대에 이렇게 기억되니 그나마 다행이랄까.

그러고 보면 지금까지 우리에게 전해지는 시문들은 역사의 평가를 견뎌 낸 대단한 작품들인 것 같다.

정조 때 자신을 간음했다고 비방한 노파를 찾아가 칼로 찔러 죽이고 오히려 의인으로 칭송받은 김은애의 뒷이야기가 기억에 남는다.

처음에는 살인죄로 잡혀갔으나 정조가 명예를 지키기 위한 의로운 행동으로 방면해 줬는데, 훗날 정약용이 그 지방에 가서 뒷이야기를 들으니 어이없게도 뭔가 사건이 있었을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고 한다.

소문이란 참 얼마나 끔찍하고 질긴 것인가.

인간은 정말 이야기를 좋아하고 근원적으로 질투의 본능이 숨어 있는 것 같다.


<오류>

163p

왕은 경복궁으로 가서 삼전(정희왕후, 소혜왕후, 인순왕후)를 문안하고 대신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도록 한다.

-> 경복궁이 아니라 창덕궁에 문안했고, 인순왕후가 아니라 안순왕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