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부, 사람이 해서는 안될 거의 모든 것
하르트무트 크라프트 지음, 김정민 옮김, 이태주 감수 / 열대림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어떤 책이든 안 읽는 것보다는 읽는 게 낫다는 걸 새삼 느끼게 해 준 책이다.

아주 유명한 고전이 아닌 이상 가급적 새로 출간된 책을 읽는 게 낫고 아무래도 영미권 책이 접근하기 쉽다는 것도 새삼 느꼈다.

훌륭한 고전은 시간이 지나도 전혀 촌스럽지 않지만 10여 년이 지나고 나면 대부분은 시의성이 떨어져 공감이 안 가는 부분들이 있다.

이 책도 터부의 기원을 밝히는 인류학적 책이라기 보다, 독일이라는 사회에서 터부라는 기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주는 임상의사의 책인지라 아무래도 발간된지 20여 년이 다 되다 보니 거리감이 느껴진다.

터부라는 제목 보다는 사회적 금기가 더 어울릴 것 같은 책이다.

대표적인 터부로는 근친상간과 이슬람이나 인도의 음식 금기가 해당될 것이다.

존속살해나 성폭행 등등 사회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강력한 법적, 도덕적 금기가 터부인데 이를 어기게 되면 공동체로부터 추방된다.

격리에 대한 두려움이 일종의 초자아로써 개인의 욕망을 억제하고 있는 셈이다.

왜 근친상간이 터부시 됐느냐는 족외혼이 공동체 유지에 유리했기 때문이라 해석한다.

반면 유럽 왕실에서는 재산이 나눠지는 걸 막기 위해 오히려 친족간 결혼을 장려했다.

재밌는 것은 이슬람의 돼지고기 금기에 관한 해석이다.

보통 중동에서 돼지는 사람의 곡물을 먹고 병충해가 많아 키우기가 어려워 금기시 됐다고 하지만 단지 이익적인 측면에서가 아니라 지키기 다소 어려운 것을 강제함으로써 공동체의 정체성을 보존하는 방법이라고 해석한다.

돼지고기를 먹을 수 있지만 못 먹는다고 해서 큰 일이 나는 것은 아니므로 어떤 계기로 금기시 된 이 규칙을 지키는 것이 바로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것을 외부에 드러낸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 터부는 정체성의 표현이 되고 이것을 지켜가는 힘이 바로 마나라고 한다.

마나는 터부를 보존할 수 있는 힘을 뜻한다.

오늘날 우리에게는 당연시 되는 사회적 금기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터부를 깨는 것은 바로 공개적 토론이라고 한다.

생명윤리나 남녀평등, 인종차별, 양극화 등등 여러 주제들이 있을 것 같다.

터부를 깨기 위해서는 마나보다 더 강한 힘이 필요한데 대부분의 개인은 미약하기 때문에 큰 변화가 있지 않는 이상 이런 금기를 지키려고 한다.

대신 이것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위트를 제시한다.

그러고 보니 정신과에서도 유머를 올바른 승화의 방법으로 제시했던 것 같다.

다시금 인간이 얼마나 사회적 동물인지 느낄 수 있었고 이 거대한 사회가 유지되고 있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강력한 힘이 있고 그것이 반드시 합리적이지는 않지만 최소한 안정감은 준다는 것을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