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해상제국 베네치아 이화학술총서
남종국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도 예쁘고 350 페이지 정도의 부담스럽지 않은 분량이고 주제도 흥미로워 기대감을 갖고 읽은 책인데 역시나 실망시키지 않는다.

대학 출판사에서 이렇게 예쁘게 잘 디자인해서 책을 낸다는 게 신기하다.
제목이 주제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해상제국 베네치아에 대한 이야기다.
작은 섬에 불과했던 베네치아가 어떻게 중세 1000년 동안 해상 제국의 위상을 가졌는가, 그 힘의 원천은 무엇인가, 과연 베네치아는 해상 제국이라 불릴 만 했나 등에 관한 분석이다.
한 권의 책으로 기획된 것이 아니고 그동안 발표한 논문을 손본 것들이라 그런지 겹치는 내용도 있고 상세한 자료들도 같이 실려 있어 다소 지루한 부분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나 같은 일반 독자가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수준의 좋은 책이다.

베네치아를 제국이라 부를 수 있을까?
제국이라고 하면 넓은 영토와 여러 민족을 거느린 거대한 정치권력이라 생각했는데 저자는 베네치아를 상업 제국으로 규정한다.
사실 베네치가가 오스만과 대적하면서 지중해 연안의 여러 섬들을 점령하고 이탈리아 북부에도 육상 영토를 가졌다는 사실은 처음 알았다.
신성로마제국처럼 유럽에서 제국의 특징은 '로마' 정신을 계승한다는 뜻이 있어야 한다니 그런 면에서는 과연 적임자일 것 같기는 하다.
원활한 해외 무역을 위해 해군을 파견하여 바다를 정리하고 상품을 수입하는 항구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모습은 대항해 시대 이후 영국이나 네덜란드 같은 상업 제국 같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도 "중세" 해양제국, 즉 이들 보다 앞서 상업제국을 이룩했다는 의미로 지었나 보다.
보통 베네치아는 향신료 무역만 중계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면화의 비율도 거의 절반에 가까웠고, 예루살렘으로 기독교 신자들을 후송해 주는 순례단도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한다.
간단히 말해 지중해를 누비는 해군력과 큰 선박을 건조하여 국가에서 운영했기 때문에 해상 운송 능력이 뛰어났던 것이다.
증기 기관차 이전 시대였으니 선박이야 말로 교통의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이었을 것이다.
개인 선단도 있었지만 국가에서 아예 정기적으로 선단을 운영했기 때문에 운송비도 저렴했고 규칙적으로 교역 스케쥴을 짤 수 있어 상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다.
향신료를 수입하는 중요한 루트가 바로 맘루크 제국이 지배하는 알렉산드리아와 시리아의 베이루트였는데 이들 국가와의 우호적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국가가 나선다.
마치 대항해 시대 이후 영국 등으 제국주의 국가들이 무력으로 상대편의 항구를 장악한 후 상인들이 교역했던 것처럼 베네치아도 상업제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였던 것이다.
포르투갈의 신항로 발견과 오스만 제국의 득세로 결국 베네치아는 몰락의 길을 걸었지만 일반적인 편견과는 달리 지중해 무역이 바로 몰락했던 것은 아니고 나폴레옹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도 베네치아는 상업 제국의 영화를 이어갔다고 한다.
확실히 유럽은 자본주의가 탄생할 수 밖에 없는 사회였고 동아시아의 전제 군주정과는 매우 다름을 새삼 깨달았다.
베네치아라고 하면 내가 제일 좋아하는 화가 티치아노의 고향이라는 정도의 관심 밖에 없었는데 상업제국으로서의 정체성을 알게 된 정말 좋은 시간이었다.
세상에는 재밌는 책들이 왜 이렇게 많은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