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극의 문자를 찾아서 - 문자 덕후의 발랄한 세계 문자 안내서
마쓰 구쓰타로 지음, 박성민 옮김 / 눌와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깜찍하고 예쁜데 솔직히 무슨 얘기를 하고 싶은 건지 모르겠다.

일본에서 발간된 책들을 보면 확실히 이 사람들은 오타쿠 기질이 있는 것 같다.

알라딘 신간 코너에 제목만 대충 보고 세계 문자의 기원에 관한 책인 줄 알았는데, 세상에 이렇게나 다양한 문자가 있다는 걸 알려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야겠다.

한글에 너무 익숙해서인가, 어떤 문자를 봐도 한글 외에는 전부 낯설고 어려고 저자와는 달리 배우고 싶은 생각이 1도 안 생긴다.

성격이 급하고 많은 지식을 흡수하고 싶은데 한글처럼 한 눈에 확 들어오지 않아 더 그런 탓도 이는 듯하다.

빨리 읽기에 대한 강박 때문에 찬찬히 글을 보지 않아서 외국어를 더욱 싫어하는 것 같다.

그리고 문자나 언어라는 게 생각보다 훨씬 어렵다.

그리스 문자에 자음이 추가된 것이 대단한 발명이라는 걸 새삼 깨달았다.

아랍어는 모음이 별로 없어 자음만으로도 충분히 뜻이 표현된다고 하니 언어의 세계는 과연 넓다.

항상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우리 한글을 마치 발음기호와도 같다는 저자의 표현이 인상적이다.

그래서 쓰지 못하는 말이 없다고 한 모양이다.

세종대왕이 중국어 발음을 확실히 표시하기 위해 한글을 발명했다는 말도 얼핏 진실이 있는 모양이다.

어떻게 보면 문자란 언어를 기록하기 위한 일종의 약속이므로 언어에 맞는 다양한 문자들을 나름대로 만들 수 있는 것 같다.

내가 생각하는 것처럼 엄청나게 어려운 일은 아니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