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인류 - 균은 어떻게 인류를 변화시켜왔나
박한선.구형찬 지음 / 창비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번 좋은 책을 고를 수는 없는 모양이다.

앞서 읽은 <농경의 배신>은 무척 흥미로웠는데 이번 책은 밀도가 영 헐거워 아쉽다.

대신 한국인 저자들이 쓴 책이라 번역투의 어색한 문장 없이 편하게 읽을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전날 읽은 <농경의 배신>을 인용한 내용이 많았다.

농경이 시작되고 가축과 함께 모여 살기 시작하면서 좁은 공간에 집중화 되니 인수공통 전염병이 퍼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신대륙은 1만 2천 년 전에 가장 늦게 인간이 건너 가 구대륙과는 격리되어 있었으므로 천연두 등의 오래된 전염병에 취약한 게 당연한 듯하다.

인간과 함께 진화해 온 병원균을 완전히 박멸할 수는 없기 때문에 공생하자는 주장이 흥미롭다.

비슷한 비유인지 모르겠으나 요즘 맹위를 떨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를 감기처럼 관리하자는 맥락과 통하려나?

손씻기,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 예방접종 등의 기본적인 안전 수칙에는 동의하지만 지금처럼 국민을 완벽하게 통제하려는 시도가 과연 질병 확산을 막는데 얼마나 도움이 될까 의문이긴 하다.

제일 흥미로운 대목은 행동면역에 관한 챕터다.

행동면역이 무슨 의미인가 했더니,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인간이 취하는 여러 행동 패턴들을 뜻하는 말이다.

간단히 말해 회피와 혐오반응이다.

우리 선조들은 병원균의 존재에 대해 알지 못했지만 직관적으로 정상적이지 않은 것들을 피했다는 것이다.

배설물을 멀리하고 아픈 사람을 격리시키는 등의 행동이다.

이방인을 배척하는 것도 그가 어떤 병원균을 가지고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회피했을 것이라고 본다.

돼지고기를 금기시 하는 종교적 규범의 기원도 이런 회피 반응 때문인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