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멸의 인류사 -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사라시나 이사오 지음, 이경덕 옮김 / 부키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시 어려운 주제는 반복해서 읽고 또 읽는 수밖에 없는 것 같다.

인류의 기원에 대한 주제는 명확하지가 않고 늘 모호한 느낌이었는데 비슷한 책을 읽다 보니 아주 약간은 체계가 잡히는 것 같기도 하다.

대형유인원 중 제일 먼저 갈라진 오랑우탄은 1500만년 전에 분기했고, 인류와 가장 가까운 유인원 침팬지는 700만 년전에 갈라져 나갔다.

이 침팬지에서 떨어져 나간 것이 바로 보노보이다.

인류라고 부를 수 있는 종은 대략 25가지 정도로 보는데, 전부 멸종했고 오직 호모 사피엔스인 현생인류, 바로 우리만이 살아남았다.

그래서 제목도 "절멸의 인류사"인 모양이다.

침팬지와 인간이 제일 가까운 사촌이라고 하면 큰 거부감을 보이지만, 그 사이 조금씩 바뀌어 온 다른 모든 친척들은 멸종하고 말았으니 차이가 큰 것처럼 보일 뿐이라는 지적에 공감이 된다.

인류라고 불릴 수 있는 다른 종들이 살아남았다면, 이를테면 아르피테쿠스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호모 에렉투스 등이 지금도 존재한다면 보다 직관적으로 침팬지와 인류가 공동의 조상에서 분기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거란 얘기다.

왜 그들은 멸종하고 말았을까?

그들만 멸종한 것이 아니라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거의 모든 생물들은 다 사라지고 만다.

저자가 전작에서 표현한 바대로 지구는 한정된 의자이기 때문에 앉을 수 있는 정원이 정해져 있어 환경 변화에 적응한 생명체들은 번성하고 못하면 사라지는 것이다.

환경이 크게 변하지 않는다면 같은 종이 계속 번성할 것이고 소행성 충돌처럼 느닷없는 큰 변화가 생긴다면 기존의 것들은 멸종하고 거기에 적응할 수 있는 새로운 생명체, 즉 우리 같은 포유류가 번성하게 된다.

인간임을 규정하는 가장 큰 특성이 큰 뇌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뇌는 나중에 커졌다.

직립 2족 보행이 먼저였다.

700백만 년 전에 허리를 세우고 두 발로 걷기 시작한 반면, 큰 뇌는 250만 년 전 쯤에 진화했고 그 때부터 석기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아프리카 환경이 건조화 되면서 삼림이 점차 초원으로 바뀌어 가자 나무에 매달리는 걸 더 잘 했던 침팬지 등의 유인원들이 살아 남았고 인류는 초원으로 쫓겨나게 됐다는 가설이 흥미롭다.

서서 걷게 되면 맹수들의 먹잇감이 되기 쉽지만 대신 이들은 집단을 이루어 함께 살고 더 오랫동안 달릴 수 있어 먹이를 찾는 반경이 넓어진다.

언어도 집단 생활을 이루면서 협력할 수 있는 중요한 능력이 된다.

두 발로 걸으면서 두 손을 이용해 음식을 운반해 줄 있기 때문에 어린 자녀와 엄마를 부양할 수 있게 됐다는 추론도 흥미롭다.

음식 운반 가설이 직립 보행의 진화 원동력이라고 주장한다.

집단 내에서 1부 1처제를 유지했기 때문에 내 자식이라 확신하고 음식을 가져다 줄 수 있었던 것이다.

뇌가 먼저 커진 것이 아니라 직립 보행으로 손을 쓸 수 있게 되면서 뇌가 커졌다고 한다.

그 외 아프리카를 탈출한 호모 하이델베르크인이 네안데르탈인으로 30만년 전 쯤 진화하고 4만 년 전에 멸종하는 과정 등도 흥미롭게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