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준비의 기술
박재영 지음 / 글항아리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0 여 페이지의 짧은 분량, 주제도 마음에 들고 표지 디자인도 신선해서 골랐다.

저자는 네이버 팟캐스트에서 즐겨 듣던 정신과 관련 프로그램의 진행자라서 낯이 익다.

진행할 때의 톡톡 튀는 가벼운 말투가 마음에 들었는데 막상 책 자체는 에세이로서는 너무 평범해서 아쉽다.

좋은 글을 쓴다는 건 참 어려운 일 같다.

공감할 만한 주제들도 많고 여행에 대한 내 생각도 정리해 본 좋은 시간이었다.

결혼하고 좋은 점은 남편하고 매년 여행을 갈 수 있다는 점.

패키지 여행만 다니다가 단 둘이 해외 나가서 렌트카를 타고 다니니 그게 생각보다 너무 좋다.

이 책에도 렌트카를 적극 추천한다.

요즘은 구글 지도가 워낙 잘 되어 있어 해외에서 운전도 어렵지 않은 것 같다.

일정에 구애받지 않고 원하는 시각에 이동할 수 있어서 편하고 새로운 코스로 드라이브 하는 즐거움도 있다.

사실 나는 여행을 좋아하지만 책의 주제인 여행 준비에는 거의 관심이 없다.

여행지에 가서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목록을 정하고 가방에 넣으면 여행 준비가 끝난 느낌이다.

대신 함께 가는 남편은 몇 달 전부터 비행기와 호텔 예약부터 시작해 모든 일정을 꼼꼼하게 챙긴다.

그러고 보니 이 책은 남편이 읽어야 할 것 같다.

음식점도 그렇다.

남편은 좋은 음식점을 찾아서 먹고 싶어 하지만 정작 돈 아까워서 나만 싹싹 비우지 식성이 까다로운 남편은 거의 못 먹는다.

난 먹는 것에 대해서는 음식의 "역사" 이런 거에나 관심이 있을까 음식 자체는 뭘 먹어도 아무 상관이 없어 책에 나온 미식 이야기는 공감이 어려웠다.

제일 신기한 게 먹방.

남 먹는 거 보는 일에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열광한다는 사실이 너무 신기하다.

내가 여행을 좋아하는 이유는 여행 그 자체 보다도, 여행을 다녀온 후 책을 읽을 때 관심사가 넓어지고 가 봤던 곳은 좀 더 친근하게 와 닿기 때문이다.

뉴욕에 아무 관심도 없었는데 여행 후에 미국 이민 역사나 뉴욕의 건축물 역사에 관심이 생기는 식으로 말이다.

또 미술관에 가서 직접 명화를 접했을 때 그 감동은 잊혀지지가 않는다.

오르세 미술관에 갔을 때 책에서만 보던 그 유명한 마네의 <풀밭 위의 점심식사>가 벽면을 가득 채우고 있는 모습을 봤을 때의 감동!

꼭 유명한 그림 뿐 아니라 박물관의 다양한 유물들을 볼 때도 비록 그 유물의 역사적 의의를 다 알지 못한다 해도 눈으로 보는 것만으로도 무척이나 감격스럽다.

확실히 나는 자연보다는 문화적 욕구가 강한 것 같다.

코로나가 언제 끝나려나.

너무 아쉽다는 말 밖에는 안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