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도킨스의 영혼이 숨 쉬는 과학 - 열정적인 합리주의자의 이성 예찬
리처드 도킨스 지음, 김명주 옮김 / 김영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나를 무신론자로 이끈 분, 내 인생의 가치관 변화에 꽤 영향을 끼친 분이라 가급적 저작들을 읽어 보려고 노력하지만 어렵다!

내 과학 수준의 한계인가, 상세한 설명들은 제대로 이해를 못하고 일단 지루하다.

당위적으로 적응을 위한 자연선택과 점진적 진화가 "진리"임은 알겠는데 상세한 논증은 제대로 이해를 못했다.

나름 생화학을 전공했는데도 이렇게 모를 수가 있나 약간의 절망감이 들면서도 과학과 대중의 괴리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므로 이 차이를 잘 메꾸는 것이 과학 저술가들의 역할인 것 같기도 하다.

도킨스는 명성있는 과학자답게, 대중에게 흥미를 끈다는 미명하에 과학을 우스꽝스럽고 가벼운 것으로 희화화 시키는 것에 반대한다.

수준있는 문학연구가 대중들에게는 겨우 드라마 캐릭터 분석으로 전락한 세태가 과학 대중화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것이다.

열심히 반복해서 읽고 또 읽는 수밖에 없는 것 같다.

과학 저술에도 노벨 문학상이 수여되길 바란다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도킨스는 과학이 문학과 다름없는 예술적 위대함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에게 과학의 이미지는 일종의 실용주의적 기술 같은 느낌인데, 생명의 탄생과 같은 진리를 찾는 열망은 반드시 실용적 이익이 없다 할지라도 예술처럼 그 자체로서 훌륭한 가치를 갖는다는 것이다.

과학은 단순한 방법론이 아니라 진리를 찾아가는 과정, 세상이 만들어진 이치를 알아내는 탐험의 과정인 것 같다.

현실, 그 가슴뛰는 마법이라는 책 제목처럼 과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예술처럼 인간의 감정을 고양시키고 궁극의 기쁨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은 가치관이나 신념, 민족이나 종교 등에 의해 변하지 않는 절대적인 진리이므로 과학이 종교를 대신한 도덕적 원칙이 될 가능성에 대한 시사도 신선했다.

도덕적 진보는 종교가 아닌 현실 그 자체를 연구하는 과학을 통해 가능하다는 주장에 충분히 공감이 간다.

인권의 진전, 상호협력주의, 평등의식, 생명존중 등이 과연 종교를 통해 이룬 것인가?

세속적인 국가일수록 양성평등과 개인의 자유, 복지 등에 훨씬 더 앞서 나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