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편지로 읽는 조선 사람의 감정 고전탐독 13
전경목 지음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가 참 정감있고 예쁘다.

다소 지루하게 느껴지는 제목과는 달리, 생각보다 훨씬 재밌게 읽었다.

정말 우리나라 역사도 미시사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모양이다.

꼼꼼한 고문서 분석을 통해 손에 잡히듯 17세기를 살았던 조선 선비들의 생활상이 그려진다.

이런 책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것은, 확실히 조선 사회는 화폐 경제가 아닌 실물 경제, 즉 물물교환의 시대였구나 싶다.

선비들은 편지 교류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맺고 끊임없이 선물을 주고 받는다.

뭔가를 요청하고 또 열심히 청탁을 들어준다.

비단 벼슬자리나 송사 등에 관한 청탁 뿐 아니라, 구체적인 물건 요청이 잦다.

곡식은 물론이고 부채, 종이, 배 등등 실제 생활에 쓰이는 물건들을 부탁한다.

특히 이 책의 주인공처럼 지방의 군수로 재직하면 친척은 물론 지인들로부터 끊임없는 청탁 요구에 시달린다.

돈을 주고 시장에서 물건을 살 수 없는 시스템이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실제적인 현물을 서로 주고 받으며 살아갈 수밖에 없었던 모양이다.

일종의 선물 경제라고 할까?

요즘 같으면 관의 물건을 지인에게 나눠주는 것이니 횡령으로 보여질 부분도 오히려 상부상조 하는 것으로 생각했던 것 같다.

오히려 매몰차게 거절하면 인정이 없고 청렴하다 평가하는 게 아니라 이기적이라는 비난을 받고 사회적 관계를 맺지 어려웠다.

기본적으로 학자였던 선비들의 편지라 그런지 극존칭과 화려한 미사여구가 사적인 편지에도 많이 등장한다.

엎드려 바라옵니다는 표현은 비단 임금에게 바치는 상소에만 등장하는 표현이 아니었다.

경신대기근의 참혹한 기아를 이겨내기 위해 노력하는 지방관의 모습이 그려져 신선했다.

사극의 폐해인가, 조선시대 지방관이라고 하면 백성들을 착취하고 자기들만 호위호식 할 것 같은데, 그랬으면 진작 조선이 망하고 말았을 것이다.

끔찍한 흉년을 당해 관내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지만 한계를 절감하고 안타까워 하는 마음이 전해진다.

책에 나온 대로 기아는 조선 시대의 만성적인 현상이었고 더 심할 때와 덜 심할 때가 있었을 뿐이라 양반이라고 해서 흉년의 공포를 피해 갈 수 없었다.

이런 부분은 현대와 매우 다르기 때문에 선조들을 이해할 때 항상 염두에 둬야 할 듯하다.

밥 먹었냐가 왜 인사가 됐는지 이해가 되는 부분이다.


<인상깊은 구절>

278p

앞의 편지들을 통해 기근이 하루아침에 시작된 것이 아니고 이미 오래전부터 간헐적이지만 반복적으로 있어 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당시 수령들은 대부분 백성을 구휼하는 일에 모든 노력을 다했다는 점도 엿볼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비교적 풍년이 든 해에도 자칫 집안 관리를 소홀히 하면 굶주일 가능성이 높았다. 배고픔의 그림자가 일상에 깊숙이 드리워져 있었다. 조금 부풀려 이야기한다면 평생 동안 기아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힘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