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리더 : 영조 그리고 정조 - 조선 르네상스를 연 두 군주의 빛과 그림자
노혜경 지음 / 뜨인돌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보고 영조와 정조를 비교한 책인 줄 알았다.

그런데 읽어 보니 그냥 제목만 단순 비교를 해 놓은 것이고 각 챕터들이 산발적으로 독립되어 있어 별 관계가 없어 아쉽다.

어떤 싸이트에 정기 연재를 했던 글인 모양이다.

전부터 관심있게 보던 저자라 재밌게 읽기는 했지만 아무래도 연재물로 기고한 글이라 한 권의 책으로서는 밀도가 떨어지는 듯하다.

또 무리하게 현대 기업의 리더십과 연결짓는 것도 약간 어색했다.

그럼에도 영조와 정조라는 조선 후기의 르네상스적 군주를 무조건 찬양하지 않고 현실적인 관점에서 비판하고 분석한 점은 매우 흥미롭고 인상적이었다.

영조는 아버지 숙종을 닮아 다혈질에 성격도 급하고 사람을 들들 볶는 스타일이었던 것 같고 아들인 사도세자도 광증으로 내시들에게 칼을 휘두를 정도였으며, 그 손자인 정조도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자부심에 넘치는 매우 독선적이고 자기 주장이 강한 성격인 듯하다.

어쩐지 이 삼부자는 다 비슷한 성격을 가진 듯하다.

권력욕 강하고 드센 성격은 장희빈을 어머니로 둔 경종이었을 것 같은데 오히려 영조가 아버지를 닮아 매우 다혈질이고 급했던 듯하다.

다만 영조와 정조는 자신을 잘 조절하고 정치를 이끌어 가는 능력이 뛰어나 치세를 안정시킨 반면, 중간에 낀 사도세자는 결국 비운에 가고 만다.

인간의 불완전함이야 당연한 전제인 걸 생각해 보면, 모든 것은 결과로 말해주는 것 같다.

영조가 늘 자신의 치적으로 내세우는 청계천 준설이 뭐 그리 대단한가 싶었는데 이 결정이 얼마나 큰 결단이고 힘든 과정이었느지 상세히 나와 이해가 된다.

포크레인 같은 중장비도 없던 시절 사람의 손으로 강바닥의 토사물을 퍼 내야 했으니 궁궐 건설 못지 않은 대역사였을 것이다.

궁궐은 왕만 좋았겠지만 청계천 준설은 한양 시민 모두에게 혜택을 주었으니 과연 영조가 업적으로 자찬할 만하다.

이런 영조도 형 독살설이라는 음모론에 시달렸으니 자신의 출신 컴플렉스와 함께 인간적으로는 참 힘들었을 듯하다.

이인좌의 난이 일어났을 때 보통의 군주라면 노론과 손을 잡고 소론 세력을 싹쓸이 했을텐데 영조는 뜻밖에도 박문수 등의 소론을 내세워 이들을 진압한 후 탕평책이라는 협치를 추구한다.

그럼에도 탕평책은 궁극적인 협치라기 보다는 할당제에 불과했다는 게 저자의 냉정한 평가다.

노소론으로 갈라진 조선의 정치 세계는 마치 오늘날의 진영 논리를 보는 것처럼 본질은 사라지고 상대에 대한 극렬한 미움만 남아 있는 듯하여 안타깝다.

단지 역사책에서만 보는 옛날 이야기가 아니라 여전히 살아 움직이는 끔찍한 괴물 같은 느낌이다.

저자는 사치를 단속하는 영조의 절약정책을 에둘러 비판하면서 인간의 욕망을 억제하는 모든 정책은 실패할 수 밖에 없음을 지적한다.

어쩐지 오늘날 정치판에도 적용해도 될 말 같다.

못 갖게 하면 더욱 갖고 싶은 것, 수량을 제한하면 이미 가지고 있는 자산의 가치는 더욱 올라갈 수 밖에 없는 것.

비단 자본주의 사회가 아니라 해도 소유에 대한 인간의 강렬한 욕망을 법으로 억제할 수 있을까?

같은 실패가 지속되는 걸 보면 딱히 역사에서 뭘 배우지도 못하는 것 같다.


<오류>

64p

태자를 자결하게 만든 한무제의 충신, 안금장이나 차천추 같은 신하가 곁에 있어 죽음을 각오하고 자신을 말렸더라면

-> 안금장은 당 예종이 태자로 있을 때 측천무후 앞에서 태자의 무고함을 주장한 사람이고, 차천추는 한무제 때 여태자의 무고함을 알린 사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