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 위의 중국사 - 한 상 가득 펼쳐진 오천 년 미식의 역사
장징 지음, 장은주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간 신청한 책인데 계속 미루다가 드디어 읽게 됐다.

중국에서 다양한 책이 번역되어 읽을거리가 많아져 참 좋다.

역시 중국 출신의 저자가 써서 그런지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중국 관련 책보다 훨씬 상세하고 흥미롭다.

다만 언급된 요리들을 거의 알지 못해 직관적으로 확 와 닿지는 않는다.

항상 역사서를 읽을 때 잊지 말아야 할 것이 당시 시대 배경과 한계인 듯하다.

이를테면 고대 중국에서는 조기 같은 바다 고기는 거의 먹지 못하고 잉어나 붕어 같은 민물고기를 먹었다.

내륙으로 생선을 저장해 운반할 기술이 없었던 것이다.

그러고 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요리들도 거의 대부분은 근대의 산물인 것 같다.

중국 역사서에는 생선구이가 자주 등장하지만 오늘날 현대 중국에서는 생선을 통구이로 먹지 않는다고 한다.

생선구이는 한국 식탁에도 자주 오르는 아주 대중적인 요리법인데 왜 안 먹게 됐는지 궁금하다.

중국 요리 변천사의 특징은 유목민의 다양한 음식들이 유입됐다는 점일 것이다.

후추 같은 향신료도 그렇고 양고기를 잘라 양의 위에 넣은 후 진흙을 발라 냄비 없이 직접 굽는 요리들이 그렇다.

재밌는 것은 고대 중국인들은 무려 신석기 시대부터 개를 식용으로 키웠는데 사냥견으로 개를 키우던 유목민들이 중원으로 진출한 뒤 이 습속이 사라졌다고 한다.

여전히 한국에서는 개고리를 먹는데 현대 중국은 생선구이처럼 아예 안 먹는 것인지 궁금하다.

신석기 시대부터 돼지와 함께 가장 많이 먹는 가축이 개였다니 놀랍다.

어쩌면 지금 개고기를 먹지 않는 것은 유대인과 이슬람들이 돼지를 안 먹는 것처럼 그냥 문화적 관습에 불과한 것인가 싶기도 하다.

확실히 음식은 문화적 관습과 밀접한 영향이 있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