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르하치 - 청 제국의 건설자
천제셴 지음, 홍순도 옮김 / 돌베개 / 2015년 1월
평점 :
절판


중국과의 교류가 정말 활발해진 것을 책을 통해 느낀다.

좋은 역사책들이 많이 번역되는 것 같아 중국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얻을 수 있어 참 좋다.

전에는 어쩐지 중국 번역서는 수준미달이라는 느낌을 갖고 있었는데 아마도 좋은 책들이 번역이 안 돼서 생긴 오해였던 것 같고, 역시 자국의 역사라 그런지 한국이나 일본에서 나온 중국사와는 다른 보다 상세하고 포괄적인 내용이 많아 중국사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된다.

평전은 한 개인의 일생을 너무 파고들어 지루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는데 이 책은 멋진 표지처럼 누르하치라는 건국 영웅의 이야기를 과장된 서술 없이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여 아주 흥미롭게 풀어낸다.

청나라의 국호를 정하고 병자호란을 일으킨 아들 홍타이지에 대한 책을 주로 보다가 진정으로 여진족의 국가를 세우고 만주를 통일한 시조 누르하치의 일대기를 읽으니 더욱 박진감이 넘친다.

마치 중원을 통일한 쿠빌라이와 몽골 초원의 정복을 시작한 아버지 칭기스칸의 차이를 보는 느낌이다.

여진이 처음부터 강력한 제국을 이루었던 것은 물론 아니고, 누대로부터 조금씩 영역을 넓히는 노력을 하다가 누르하치가 명과 조선의 임진왜란이라는 국제전을 잘 이용하여 세력을 넓힉 드디어 만주를 통일하여 여진족을 하나의 국가로 만들고 한족을 압박해 가는 과정이 드라마틱 하다.

이미 명은 서양 화포를 가지고 있었고 인구나 생산력 면에서도 감히 비교될 수 없는 대국이었으니 변방 오랑캐의 만주 통일 쯤이야 우습게 생각했을 법하다.

조선 정치가들이 처음에는 여진의 화친 요구나 압박을 거부했던 것이 너무 이해가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진족처럼 명에 대해 실리적인 입장을 취하지 않은 조선의 태도는 너무나 안타깝다.

누르하치는 세력을 넓히는 동안 명에 충성하는 척하면서 뒤로는 명을 기만하는 이중적 태도를 취해 왔다.

국가간의 외교시 요구된느 자세가 바로 저런 실리주의일텐데 명분론에 함몰되어 결국은 끔직한 전쟁의 피해자가 된 조선의 처지가 안타깝다.

중국인 저자도 조선의 명에 대한 충성심은 말릴 수가 없었다고 표현할 정도이니 조상들의 완고한 세계관이 참으로 안타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