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라도 미술관 - 세계 미술관 기행 3
다니엘라 타라브라 지음, 김현숙 옮김 / 마로니에북스 / 2007년 4월
평점 :
기대했던 만큼은 쉽게 읽히지 않았다
이주헌씨 책은 하나의 이야기처럼 술술 읽히는 장점이 있는데 확실히 번역서나 평론가들이 쓴 글은 분석적인 느낌 때문에 한 번에 쭉 읽히지가 않는다
다소 지루한 부분도 있고 단순히 미술관의 작품을 소개하는데 그쳐 아쉬운 점도 있다
가격 때문이겠지만 좀 더 많은 그림을 소개시켜 주지 못한 게 아쉽다
그렇지만 역시 스페인 예술의 정수를 보는 것 같아 보는 내내 즐거웠다
프라도 미술관의 명성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가 보지 못해서 늘 아쉬웠는데 조금은 그 마음을 달랠 수 있었다
확실히 서구의 예술에 대한 열정이나 사회적 파급력은 놀랍다
프라도 미술관 역시 카를 5세 때부터 그러니까 15세기부터 수집해 온 국왕들의 미술품을 근거로 만들어졌다고 하니, 과거의 전통이 끊기지 않고 현대까지 이어왔다는 점에서 매우 부럽다
우리는 조선의 유산을 이어받았다고 하지만 국악이나 판소리, 마당극 등 전통적인 문화는 사실 거의 사라졌다고 할 수 있는데, 유럽에서는 여전히 자신들의 전통이 계속 이어져 오고 지금도 향유되고 있으니 그저 부러울 따름이다
내가 사랑해 마지 않는 뒤러의 아름다운 초상화가 바로 프라도 미술관에 있었다
또 그가 그린 아담과 이브나 토끼 그림도 같이 소장되어 있었다
히에로니무스 보스나 브뤼겔 등의 초현실적인 걸작이나, 엘 그레코의 길쭉길쭉한 그림들도 많아서 눈이 즐거웠다
확실히 도판이 훌륭하다
실제로 보면 거의 대부분 1m가 넘는 대작들이니 직접 봤을 때의 감동은 또 다를 것 같다
다시금 느낀 바는, 역시 내가 알고 있는 명화는 매우 알려진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모르는 화가나 그림이 나오면 곧 지루해졌다
좀 더 미술책을 많이 봐야겠다고 생각했다
관심가는 화가는 뒤러, 루벤스, 카라밧조,앵그르,레이놀즈 등이다
확실히 나는 자신감 넘치고 화려한 스타일의 그림을 좋아한다
렘브란트 풍의 고요한 이미지 보다는 루벤스 풍의 과장된 바로크적인 그림들이 좋다
혹은 앵그르나 다비드처럼 고전주의적인 화풍이든지
어쨌든 그림을 책으로 보는 것과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은 매우 다르니, 기회가 된다면 직접 미술관을 순례하고 싶다
언제나 느끼는 바지만 코앞에 미술관이 널려 있는 뉴욕이나 파리, 런던, 마드리드 사람들은 얼마나 축복받은 사람들인가!!
약간 비현실적일 수도 있지만, 미술관 구경을 하면서 언어 문제만 해결된다면 프랑스나 영국으로 이민가고 싶다는 생각까지 했었다
문장력 측면에서는 딱딱하고 번역도 그다지 매끄럽지는 않지만, 도판이 워낙 훌륭해 한 권 보고 나면 배가 잔뜩 부른 느낌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