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전염병 13가지
제니퍼 라이트 지음, 이규원 옮김 / 산처럼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된 책인 줄 알았는데 옮긴이 말에 코로나 얘기가 있어서 놀랬다.

어느새 코로나 발병한지도 2년째로 접어들고 있구나.

여전히 백신 접종은 요원하고 올해라도 과연 끝날 수 있을지 답답하다.

1918년에 발병해서 전 세계에 5천 만명의 사망자를 낸 스페인 독감과 비슷한 경우이려나.

그 때는 세계1차 대전이라는 전대미문한 엄청난 사건이 있었던 해라 면역계가 지나치게 활발했던 젊은 사람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퍼져 갔던 게 이해되는데, 21세기의 코로나는 이렇게도 끈질기에 전 세계를 괴롭히고 있는지 정말 힘들다.

책에 소개된 흑사병이나 스페인 독감 등에 비하면 전염력은 높을지언정 치사율은 크지 않지만, 내가 자영업자고 코로나 감염 후 직격탄을 맞아서 그런지 개인적으로 느껴지는 압박감이 정말 큰 것 같다.

공무원이거나 대기업 회사원이었다면 코로나 감염 자체가 다소 불편하긴 해도 이렇게까지 힘들게 느껴지지는 않았을 것 같다.

저자는 마지막 부분에서 정부 당국이 대중의 공포를 조절하고 잘 이겨낼 수 있다는 확신을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했는데 전염병 상태가 1년 넘게 길어지다 보니 이런 신뢰감을 계속 유지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새삼 느껴진다.

맨 첫 장에 소개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시절의 안토니누스 역병에서도 특별한 치료법이 없었지만, 황제가 제국이 동요하지 않게 신속하게 시체를 치우고 군사들을 충원하면서 고군분투한 내용이 나온다.

결국 그도 먼 변방에서 제국을 지키다 역병으로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전근대 사회에 비해 현대 사회는 항생제라는 강력한 무기가 있어 치명적인 사망률을 막을 수 있긴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보건 위생의 발전인 것 같다.

콜레라의 전염 경로를 밝힌 존 스노의 일화에서처럼 특별한 치료법 자체보다 주변 환경을 위생적으로 잘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예방법이고 고대의 위정자와 의사들도 역병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없었지만 이런 상식을 이해했기 때문에 어쨌든 인류가 멸종하지 않고 계속 문명을 이어갈 수 있었던 듯하다.

나병이나 매독, 결핵 등이 치료제의 발명으로 크게 감소한 것은 괄목할 만한 의학적 진보 같다.

책에 소개된 13가지의 전염병 중 장티푸스에 걸린 적이 있어 공감이 확 갔다.

하필 의약분업 때문에 의사 파업을 할 때라 응급실에서 병실로 올라가지도 못하고 40도 넘는 고열로 시달렸던 기억이 생생하다.

책에도 무증상 보균자였던 요리사 메라가 수많은 이들을 사망으로 몰고 간 사례가 나온다.

이런 전염 경로를 파악했다는 것 자체가 놀랍다.

음식업 종사자들이 손을 깨끗히 씻고 위생장갑을 사용해야 한다는 간단한 규칙도 이런 치명적인 사망 케이스들이 모여 비로소 확립된 걸 보면 보편적인 상식들을 좀더 열심히 지켜야 할 것 같다.

소아마비 백신 개발도 아주 인상적이었다.

소크라는 백신 개발자는 이름만 들어 봤었는데 특허권까지 포기하고 대량 생산할 수 있게 해 준 대단한 사람인지는 미처 몰랐다.

그러고 보니 내가 어렸을 때만 해도 소아마비로 다리를 저는 사람들이 꽤 있었는데 지금은 거의 보질 못하는 것 같다.

당장 책에 소개된 루즈벨트 대통령이 소아마비로 다리가 불편했고 놀랍게도 이 정치인은 소아마비 치료와 백신 개발을 위해 전미에 엄청난 기금 모금을 추진했다.

정치인의 선한 영향력이 소크라는 이타적인 의학자와 만나 소아마비를 박멸하게 된 이상적인 사례가 탄생한다.

영화 같은 이야기인데 이런 어려움 속에 탄생한 백신들을 거부하기도 하는 현재의 세태는 개탄스럽다.

집단 면역이라는 개념을 이해한다면 백신 거부는 있을 수가 없는 이야기인데 좀더 홍보가 필요할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