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금성의 노을 - 중국 황제의 후궁이 된 조선 자매
서인범 지음 / 역사인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흥미로운 주제인데 이렇게도 지루할 수가!

역사학자의 책인 만큼 과장하지 않고 사료에 기초해 꼼꼼하게 조선 전기 명과의 관계를 한계란이라는 여인을 매개로 잘 풀어내긴 했으나, 전체적인 서술이 너무 지루하다.

저자 본인의 견해나 역사적 평가가 좀더 첨언되었다면 훨씬 입체적인 책이 될 수 있었을텐데, 너무 아쉽다.

400 페이지의 책이 거의 다 사료를 옮겨 싣는 수준이라 많이 지루했다.

장점으로는 조선 전기 공녀와 환관들이 명에 진헌되어 가는 과정, 또 그들이 사신이 되어 조선으로 돌아와 외교관계에 어떤 영향력을 미쳤는지, 명나라 궁중의 여관 제도 등 덜 알려진 역사적 사실들을 사료에 기초해 꼼꼼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조선시대 여성의 여성의 이름이 전해지는 것부터가 범상한 일이 아니긴 하다.

책을 읽으면서 궁금했던 점 중 하나가, 명나라는 인구만 해도 엄청났을텐데 왜 굳이 작은 나라 조선에 말도 안 통하는 공녀와 환관을 바치라고 재촉했냐는 점이다.

단순히 황제들의 이국적 취향 때문인가, 아니면 사대하는 나라의 정성을 보기 위함인가?

어찌 보면 매우 잔인하고 끔찍한, 또 실제적 이득이 거의 없으면서 상국으로서 체면만 손상되는 행위일텐데 왜 명 초기에만 이런 런 요구가 시행됐는지 궁금하다.

특히 영락제는 조선 출신 후궁이 8명이나 됐다고 한다.

공녀는 권세가 없는 집안에서 뽑혀 가는 줄 알았는데 한확의 여동생처럼 명문가도 피할 수 없었다는 사실이 놀랍다.

조선 전기에 공녀로 진상된 조선 처녀는 총 114명인데 그 중 16명이 황제의 후궁이 되었다.

당시 양인층의 인구수를 고려했을 때 공녀의 숫자가 적은 편은 아닌 것 같다.

조선 위정자들이 무시했던 오랑캐 원나라가 하던 행태를 천자의 나라 명나라에서도 하다니.

더더군다나 후궁으로 뽑혀 간 조선 여인들은 순장당하기까지 했다.

15세기 근세에 순장이라니, 정말로 놀랍다.

중국은 오래 전부터 인간의 형상을 한 인형을 묻는 것도 잔인하다고 하여 금했을 정도인데 유교를 국시로 한 명나라 전기에 이런 끔찍한 순장 제도가 남아 있었다니 정말로 놀라운 일이다.

한확의 누이가 영락제를 5년간 모시다가 순장당하고 그 후 다시 그 여동생이 공녀로 뽑혀 갔을 때 얼마나 처참한 심정이었을지 짐작이 된다.

한확의 집안은 공신을 배출한 명문가이고 성종의 외가임에도 딸을 둘 씩이나 보내야 했을 만큼 명의 위세가 대단했던 모양이다.

그 여동생이 바로 이 책의 주인공 한계란이다.

그런데 재밌는 것은, 이 여인은 비록 아이를 낳지는 못했으나 성화제의 유모가 되어 순장당하지도 않고 네 황제를 모시면서 명의 궁중에 살아 남아 74세까지 천수를 누린다.

아이를 낳지 않은 여자가 어떻게 유모가 됐을까?

젖어미는 따로 있고 보모의 개념이었을까?

한계란은 매사에 빈틈없이 처신해 여러 황제들로부터 후대를 받았다.

그런데 문제는 조선 출신 환관과 결탁해 조선으로부터 사적인 공물을 계속 진상하라고 압박했다는 점이다.

어떻게 생각하면 한계란을 통해 명과의 외교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고 실제로도 많은 도움을 줬는데도 실록에 따르면 조선 조정은 이 사적 진상 문제로 골머리를 썪는다.

현대인이 생각하는 외교의 개념이 아니라 당위성의 문제로 접근하니 오히려 조선 출신 후궁의 존재가 고국에 큰 부담이 됐던 듯하다.

공식적인 사신 절차가 아니라 후궁을 통해 뒷거래를 하는 모양새에 대해 조선의 위정자들은 매우 불편해 했던 것이다.

또 상품경제가 활성화 되지 않은 시절이라 요구하는 공물을 바치려면 전부 새로 만들어 내야 했기 때문에 그 부담이 매우 컸다고 한다.

고향을 그리워하여 머리장신구나 바늘쌈지, 부채 같은 소소한 물품들을 요구했고 따로 은을 주기도 했던 걸 보면 엄청난 부담은 아니었을 것 같은데 오늘날의 개념과 다른 모양이다.

또 중간에 조선인 출신 환관이 끼여서 부담이 커졌던 것 같기도 하다.


조선 전기에 명에 바친 공녀와 환관 제도에 대해 알아 본 좋은 시간이었지만 좀더 저자의 역사적 해석을 곁들였으면 어땠을까, 서술 방식에 아쉬움이 많이 남은 책이다.


<오류>

155p

여섯째는 성종의 왕후에 간택되었다. 바로 소혜왕후이다.

-> 소혜왕후는 성종의 어머니이고, 덕종의 왕후이다.

221p

즉, 한명희가 한계란에게 서신을 보내

-> 한명회이다.

335p

파란만장한 삶을 산 세조는 아들 예종이 특별히 지어준 궁전인 수강궁에서 숨을 거두었다.

-> 수강궁은 세종이 아버지 태종을 위해 지어준 궁전이다.

382p

세자비로만 남게 된 것이 아타까웠던 것이다.

-> 안타까웠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