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키요에의 美 - 일본미술의 혼
고바야시 다다시 지음, 이세경 옮김 / 이다미디어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우키요에에 관심이 생겨 오래 전에 읽었던 기억이 난다.

알라딘 리뷰를 보니 2011년에 읽었던 모양이다.

문득 다시 봐야겠다 싶어 빌리게 됐는데 재독인데도 더 어려운 느낌이다.

한국인이 쓴 책이 아니라 일본인이 직접 쓴 우키요에 이야기라 그런지 훨씬 복잡하고 상세한 느낌이다.

특히 각주가 친절하게 달려 있긴 하지만, 여러 문화 관습이나 양식들이 일본어 그대로 실려 있어 직관적으로 쉽게 읽히지가 않는다.

워낙 일본 문화에 대해 무지해서인 것 같다.

또 일본어 이름은 입에 잘 붙지가 않는다.

겨우 확실히 아는 화가 이름이 안도 히로시게와 가츠시카 호쿠사이 정도인데 가츠사와라고 꼭 잘못 발음을 하게 된다.

스승의 이름을 물려받아 계보를 잇는 전통 때문에 더 헷갈리는 것 같다.

겨우 10개월을 불꽃처럼 활동하다가 사라져 버린 도슈사이 샤라쿠가 사실은 조선에서 건너간 김홍도일 가능성이 있다는 설도 들은 적이 있는데 너무 황당해서인지 이 책에는 언급이 없다.

우키요에의 본류는 미인도와 가부키 배우들 그림인 것 같은데 일본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큰 감동이 안 생긴다.

특히 우키요에의 일본 미인도는 아름답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가 않는다.

왜 얼굴을 크고 투박하게 그리는 걸까?

아마도 우키요에만의 개성있는 표현방식인 것 같은데 신윤복의 미인도 같은 가녀린 느낌도 아니고, 서양화의 화려한 미인도 아니라 아주 개성있으면서도 감동이 일지 않는다.

반면 안도 히로시게나 가츠시카 호쿠사이로 대표되는 다색 풍경화는 뭐라 말할 수 없는 감동이 밀려온다.

사실 나는 판화에서 별 매력을 못 느끼는데 이 다색판화의 풍경화만은 과연 고흐가 똑같이 묘사했던 심정이 이해가 되는 될 정도로 너무나 아름답게 느껴진다.

구도도 그렇고 서정적 풍경화라는 용어에 걸맞는 분위기와 색감이 정말 아름답다.

어떻게 이런 판화 양식을 창조해 냈을까?

18~19세기 에도의 초닌층, 즉 상인계급은 유럽의 중산층과 비슷한 개념인 것인가?

그들의 경제력이 이처럼 독특하고 매력적인 서민문화를 창조해 낸 것일까?

조선 역시 진경산수화와 풍속화가 유행했다고 하지만 일본의 우키요에처럼 대량 생산되어 대중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서민문화가 아니라 여전히 엘리트 고급 예술이었던 것 같다.

결국 우키요에의 성장은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상인층의 경제력 덕분인가 싶다.

우키요에의 시작이 소설에 딸린 삽화였고 유명 가부키 배우들의 초상을 그리면서 발전한 걸 보면 출판 문화나 공연 문화가 아주 활발했던 것 같다.

1부는 12명의 우키요에 화가들을 소개하고, 2부는 목판화 우키요에, 3부는 직접 그린 육필화를 소개한다.

좋은 도판 덕분에 잘 감상했고 안도 히로시게의 풍경화는 색감이 너무나 매혹적이라 감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