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술 문화 - 중국문화의 이해
허만즈 지음, 김하림 외 옮김 / 에디터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읽어야지 하면서 신간에 계속 밀렸던 책인데, 숙제처럼 드디어 완독했다.

중국 번역서인데 첫 장부터 오타가 나와 신뢰도가 떨어져 읽을까 말까 고민했던 책이다.

그렇지만 항상 느끼는 바대로, 어떤 책이든 안 읽는 것보다는 읽는 게 훨씬 낫고, 이 책도 중국 문화에서 술이 차지하는 의미를 알게 해 준 좋은 시간이었다.

내용의 절반은 역사서에 나온 주당들 이야기라 좀 지루하긴 했다.

술의 역사와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이 알고 싶은데 전공자들의 책이 아니면 보통은 역사서에 나온 예화 나열인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전통사회에서 술이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려 주는 장점도 있다.


전에 읽었던 책에서 농부는 필연적으로 술꾼이 될 수밖에 없다는 글을 본 적이 있다.

술이 곡류에서 발효시켜 만든 음료이기 때문에 농업이 처음 시작된 메소포타미아에서 벌써 맥주가 등장한다.

서양은 과일, 특히 포도를 발효시켜 만든 포도주가 주를 이루고, 동양은 곡류에서 술을 만들었다.

이런 발효주들은 모두 도수가 낮고 단맛이 있는 감주이다.

소주처럼 알콜 도수가 높은 증류주를 얻으려면 기술이 더 발달한 후대에서나 가능했다.

그러므로 저자는 역사서에 등장하는 술꾼들의 말술은 사실은 현대인이 맥주 수십 병을 먹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한다.

맥주처럼 알콜 도수가 낮은 술은 화장실만 여러 번 들락날락 한다면 충분히 많이 마실 수 있다.

물론 고대인들의 과장법도 있었을 것이다.

또 술을 담는 용기도 오늘날의 개념과 다르기도 했다.

현대의 증류주를 말술로 퍼마셨으면 아마 알콜 중독자가 되어 역사책에 위대한 작품들로 이름을 남기지도 못했을 것이다.

전통사회에서는 딱히 문화적 유흥거리가 없었기 때문에 술이 가장 흥겨운 자극제가 됐다는 분석이 기억에 남는다.

특히 변방의 군인들은 가끔 위에서 내려주는 술이야 말로 최고의 즐거움이었다고 한다.

문인들도 술 한 잔 걸쳐야 비로소 흥이 나고 시 한 수가 나왔다. 

술의 위상이 즐길거리가 넘쳐나는 오늘날과는 매우 달랐음을 알 수 있다.

시경이 쓰여진 춘추전국 시대만 해도 하층민들은 술을 마시기가 어려워 민간의 가요를 모은 국풍에는 술 얘기가 별로 없다고 한다.

반면 사대부들의 노래인 소아, 대아 편에는 술 얘기가 대부분이라니 이런 곳에서도 신분차가 드러난다.

역사서에 기록된 어떤 위인은 술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죽어서 도자기 굽는 흙이 되어 술주전자로 다시 태어나고 싶다고까지 했으니 과연 주당들의 술 사랑은 놀랍다.


<오류>

18p

중간에 낙소스 섬을 경과할 때 디오니소스는 미녀인 마리아드네와 결혼하여

-> 아리아드네이다.

19p

노아에게는 아들이 셋 있었다. 그들은 셈, 헴, 야훼이며

-> 야벳이다.

21p

두 아들 라마(서사시의 주인공)와 바크슈나마가 한 호숫가에서

-> 라크슈마나(Lakshmana)이다.

113p

명말의 황족 중에 주답이라는 화가가 있었다.

-> 주탑이다.

178p

환현의 부친인 환원의 이름자다.

-> 부친 이름은 환온이다.

290p

위기후 두영은 한의 제 4대 황제 문제의 황후인 두태후의 조카였다.

-> 2대 혜제 이후 두 명의 소제가 있었으므로 문제는 5대 황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