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나라 식탁 기행
리카이저우 지음, 한성구 옮김 / 생각과종이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제가 흥미롭다.

전통 중국 음식 이야기도 아니고 콕 집어서 송나라 시대의 식생활이라니.

요즘은 정말 미시사가 대세인가 보다.

역사책이라고 하면 정치사와 전쟁사가 전부인 줄 알았는데 평범한 이들의 삶에 대한 연구가 많이 나와 역사학이 훨씬 더 풍부해지는 기분이다.

저자가 역사학자는 아니라서 일화 중심이라 아쉽기는 하지만 상대적으로 송나라 식생활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제일 신기했던 점이 바로 바지이다.

고대에 무릎을 꿇고 앉았던 이유가 바지를 입지 않아 생식기가 노출될 위험이 있어서라고 듣기는 했지만 정말로 그럴 줄은 몰랐다.

구글을 찾아보니 한나라 이전에는 오늘날의 바지가 아니라 스타킹을 치마 밑에 신었다고 한다.

무릎에 입는 옷이라고 하여 경의라고 불렸다.

그림을 보니 이해가 된다.

한 벌의 바지가 아니라 다리 양쪽에 끼워서 허리춤에 묶었던 것이다.

가끔 중국 어린이들이 엉덩이를 드러내는 바지 입은 사진이 나오던데 오랜 역사가 있었던 셈이다.

용변을 편하게 해결하기 위해 생식기를 노출하는 것일까?

어린이는 그렇다 쳐도 어른까지 이런 하의를 입었다는 사실이 참 신기하다.

말을 타야 하는 유목민들은 피부가 쓸려서 이런 차림이 당연히 안 되고, 밑이 있는 바지를 입었다.

조나라 무령왕이 호복을 했다는 게 바로 이런 의미였나 보다.

송나라 때만 해도 식물에서 기름을 압착해 내는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돼지 비계 등의 동물성 기름을 썼다.

그래서 고온에서 기름에 볶는 요리가 없었고 대부분 물에 삶아 먹거나 쪄 먹었다고 한다.

중국 요리의 특징이 바로 높은 온도에서 조리하는 것인데 이것도 기술의 발달이 있어 가능했던 모양이다.

다양한 중국 요리들이 소개되는데 아쉽게도 전부 모르는 것들이라 확 와 닿지가 않았다.

중국 북방에서는 밀농사를 지어 찐빵 같은 게 주식이고 북송 멸망 후 남방으로 한족들이 내려 오면서 비로소 강남에서도 밀가루를 이용한 식생활이 가능했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 밥이 주식인 한국과는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사과의 순 우리말이 능금인 줄 알았는데 둘은 다른 과종이란 걸 처음 알았다.

능금도 한자어로 원래는 林檎, 수풀의 임금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우리가 먹는 사과는 청나라 때 서양에서 수입해 왔다고 한다.

이런 소소한 재미들이 많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