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위 있고 매혹적인 고대 이집트 - 전 세계의 박물관 소장품에서 선정한 유물로 읽는 문명 이야기 손바닥 박물관 3
캠벨 프라이스 지음, 김지선 옮김 / 성안북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특정 박물관도 아니고 전 세계의 박물관을 대상으로 이집트 유물들을 소개한다는 취지는 멋진데 내용이 산만하다.

도록의 단점이 이 책에서도 느껴지는 바다.

유물만 설명하면 역사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정확히 이해하기가 어렵다.

유물 자체의 소개보다는 전체적인 역사 서술의 맥락 안에서 유물을 소개하는 컨셉이 이집트 역사 이해에 훨씬 도움이 될 듯하다.

그리고 번역이 어색하다.

원저자가 애매한 글쓰기를 한 것인지 아니면 번역이 어색한 것인지 하여튼 문장이 직관적으로 확 이해되지가 않는다.


199p

"후기 시대 내내, 장례 산업은 지속적으로 중요한 수요를 공급했고, 파라오 영안실의 살아남은 증거 대부분이 기원전 마지막 세기의 것이라 해도 무리가 없으리라. 이것이 그 산업으로부터 이득을 얻는 사회의 더 큰 부분을 나타내는지, 아니면 단순히 더 잘 보존된 부분을 나타내는지 단정하기 어렵다. 무덤들은 갈수록 공동의 것이 되어가는 듯한 한편, 시간이 흐르면서 전통적인 매장의 요소들은 유행에 뒤처졌다. 기원전 마지막 몇 세기 동안, 미라화된 동물들에 대한 거대한 종교적 산업이 나라를 휩쓸었고, 이는 신들을 위한 선물로 미라를 사고 봉헌하려는 순례자들을 해외로부터 불러들였다. 이처럼 신의 전통적인 파라오 동물 형태에 초점이 맞춰진 현상은 어쩌면 외세의 지배를 직면해 민족주의가 용솟음쳤다는 사실을 말해주는지도 모른다."


번역투의 문장이라 그런가 쉽게 안 읽히고 뜻을 정확히 이해하려면 여러 번 읽어야 한다.

아니면 저자가 전공자가 아니라서 그런가?

원저자가 직설적인 서술보다는 문학적인 비유적 서술을 해서 그런가?

하여튼 쉽게 와 닿지가 않는다.

그리고 기왕이면 유물의 명칭에 대한 원어 표기를 해줬으면 어땠을까 싶다.

본문의 유물 설명만으로는 부족해서 찾아보고 싶어도 원어 표기가 안 되어 있어 한글로는 검색이 어렵다.

장점은 역시 감탄스러운 도판의 생생한 표현력이다.

박물관 도록을 보는 것처럼 선명하고 자세히 나와 만족스럽다.

한 박물관에 국한되지 않고 세계 유수의 박물관의 유물들을 한데 모아 놨으니 그것만으로 의미가 있는 책이다.

이집트 공예품의 정교함과 세련됨, 색채의 화려함에 다시 한 번 놀랬다.

본문에 이집트인들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민족이었다는 글이 있는데, 수천 년 전의 눈화장 팔레트가 지금까지 전해져 오는 것만 봐도 굉장한 멋쟁이들이었을 것 같다.

무덤에서 오랜 시간 잠들어 있다 나온 색채감이 그대로 살아 있는 채색 조상들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고대 이집트 문화는 봐도 봐도 언제나 흥미롭고 신기하다.

아버지와 친딸의 결혼도 종종 나오는데 형식적인 혼인이었는지 정말로 부부관계가 있었는지 궁금하다.

그렇다면 이것은 합스부르크 왕가의 족내혼과는 비교가 안 되는 일인데 가계 단절 얘기는 못 들어 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