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해 현대 지상전 에이케이 트리비아북 AK Trivia Book 32
모리 모토사다 지음, 정은택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5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전쟁은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분야라 맥락이 잘 안 잡혀 입문서 수준으로 도전해 본 책이다.

이 시리즈는 200 페이지 정도로 가벼운 분량이면서 주제를 한정한 장점이 있어 읽기는 편하지만 한쪽은 설명, 한쪽은 그림이나 도표로 정리하는 식이라 내용 면에서 아쉽다.

그리고 수험서도 아닌데 굳이 이런 어설픈 요약이 매 장마다 있을 필요가 있을까 싶다.

일본에서 출간된 책을 보면 흥미로운 주제도 많고 분야가 다양해 좋기도 하지만 자기계발서처럼 조잡하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종종 있어 이 책도 끝까지 읽어야 하나 약간 고민했었다.

그렇지만 항상 느끼는 바처럼, 어떤 책이든 읽어서 나쁠 건 없다.

현대전의 특성에 대해 조금은 이해가 되는 좋은 독서 시간이었다.

특히 테러전이나 국지전에 초점을 맞춘 설명이 유익했다.

어찌 보면 마치 미군의 현대 지상전에 대한 설명을 일본인이 하는 거라 약간 웃기다는 생각도 든다.

역시 미국은 천조국인 모양이다.

다소 충격을 받은 부분은 6.25가 남침인지 북침인지 서로 다르게 주장한다면서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쓴 부분이었다.

이런 책을 쓸 정도면 전쟁에 아주 관심이 많은 사람일텐데 아직도 이런 애매모호한 입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현대전의 대표로 이라크전과 아프가니스탄전을 비교해 설명한다.

핵무기가 존재하는 시대인 만큼 적을 완전히 섬멸하는 게 중요하기 보다는, 전후에 어떻게 패전국의 사회를 재건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췄다.

사실 전쟁이라고 하면 군인들끼리 총격을 가하고 적을 무찌르는 불꽃튀는 과정만 생각하기 쉬운데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전후 복구 과정인 것 같다.

고대의 전쟁처럼 패전민을 노예로 삼거나 다른 지역으로 사민시키는 게 아닌 이상 전후 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는 전쟁의 승리 만큼이나 중요한 문제고 이 책에서는 그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CMO 즉 민사작전이라고 설명한다.

미군의 전쟁 수행 능력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전후 과정을 설명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핵무기 때문에 세계대전과 같은 대규모 전쟁은 배제하고 이라크나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일어나는 국지전에 대응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췄다.

확실히 테러와의 전쟁이 일상화된 시대 같다.

맨 마지막에서 전투 피로 증후군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 흥미로웠다.

옛날에는 약한 자는 도태된다고 겁쟁이 낙오자 취급을 했는데, 21세기 현대에는 전쟁을 수행하다가 병을 얻은 상이용사 수준으로 치료하고 돌봐 주려고 한다.

인권의 진전인가?

한 사람 한 사람이 다 소중다하는 뜻일까?

나약한 겁쟁이 한 사람도 다 안고 가려는 것이 진정한 복지 국가의 목표인가?

그런데 정말로 그것이 현실에서 가능할까?

sick role 을 우리는 진정으로 구분할 수 있을까?

책에서 강조한 내용 중에 인상적인 것은, 전쟁도 여러 전략 중 하나일 뿐이고 가장 최후의 선택지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외교 전략이 우선이기 때문에 백악관에서는 여러 루트를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

국방부의 의견 보다는 오히려 CIA 같은 정보부의 의견을 더 중요시 하여 정책을 수립한다고 한다.

확실히 무력 충돌이 우선시 되던 전통 사회와 상호 교류, 무역이 먼저인 현대는 다른 사회다.

책에서도 전후복구과정을 공들여 설명하면서 가장 중요한 성공의 열쇠는 바로 현지화, 즉 현지 주민들의 관습을 이해하고 그 문화와 언어를 습득하는 것이라고 강조한다.

미국 문화의 확산, 특히 영화나 교육을 통한 전파는 미국 세계 전략 수립에 큰 도움이 될 듯 하다.

이 책의 저자는 일본인인데, 태평양 전쟁에서 미국에서 진 후에도 전후복구사업이 성공적이었기 때문에 오늘날 일본은 미국과 같은 편에 서게 됐다고 평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